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Effects of fertilization regimes on soil faunal communities in cropland of purple soil,China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生態學報 = Acta ecologica sinica
ISSN 1000-0933,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Zhu, Xinyu,Dong, Zhixin,Kuang, Fuhong,Zhu, Bo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3-01-01
초록 토양동물은 육지 생태계의 물질 순환과 에너지 유동에서 중요한 작용을 하며, 직간접적으로 토양 유기질의 분해와 무기물화에 참여한다. 장기적인 시비(fertilization)는 토양 물리화학적 성질에 영향을 미치며, 토양동물 군락의 조성을 변화시킨다. 자색토(purple soil)에 대한 장기적인 시비가 토양동물 군락에 미치는 영향과 반응관계를 연구하기 위하여, 2008년 5, 7, 9, 11월에 무시비군, 질소 비료군, 질소/인/칼륨 비료군, 유기 비료군, 유기 비료+질소/인/칼륨 혼합 비료군, 밀짚 비료군, 밀짚 비료+질소/인/칼륨 혼합 비료군 등 7가지 시비방법을 이용하여 자색토 농경지의 토양동물 군락을 조사하였으며, 개량한 깔때기 기법을 이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총 9,454마리의 토양동물을 얻었으며, 해당 토양동물은 7문 17강 24목에 속하였다. 분석 결과, 유기 비료군, 밀짚 비료+질소/인/칼륨 혼합 비료군 등 시비방법을 이용한 적색토 내 토양동물 군락의 다양성은 무시비군, 질소 비료군, 질소/인/칼륨 비료군 등 시비방법에 비해 뚜렷하게 높았다. 이는 유기 비료의 장기적인 투입이 토양동물 군락의 풍부도와 다양성 향상에 유리하다는 것을 설명한다. 분산분석(variance analysis) 결과, 시비방법이 토양동물의 주요 군락 밀도에 미치는 영향은 뚜렷한 차이가 있었으며(F=42.412, P=0.0001), 토양동물 군락군에 미치는 영향은 불균형성을 띠었다. 시비방법은 농경지 내 토양동물 개체수, 선형동물문 개체수, 지렁이류 개체수, 은기문진드기아목(oribatida) 개체수, 밀도-종 지수(density-group diversity index, DG), 토양동물 군락 수 등 6개 지표에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지표를 이용하여 장기적인 시비로 인한 토양 비옥도의 변화와 토양 질의 변화를 예측할 수 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6521854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soil fauna,fertilization regimes,principal component analysis,purple soil,토양동물,시비 방법,주성분 분석,자색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