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Soil polychlorinated dibenzo-p-dioxins and dibenzofurans contamination and its remediation: Research progress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生態學雜志 = Chinese journal of ecology
ISSN 1000-4890,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ZHANG, Xing-li,ZHOU, Qi-xi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3-01-01
초록 폴리클로리네이티드 디벤조파라다이옥신/디벤조퓨란(Polychlorinated dibenzo-p-dioxins /dibenzofurans, PCDD/Fs)은 지속성 있는 독성 유기오염물질로서 토양환경 중에 쉽게 침적되며, 생물확대(biomagnification)와 생물축적(bioaccumulation)을 통하여 인간과 동물 체내에 주입되어 생태계와 인체의 건강을 크게 위협한다. 본 논문은 PCDD/Fs가 환경에 대한 거동과 오염원을 논술하고, PCDD/Fs 오염의 지역특성 및 토양 중 PCDD/Fs의 배경값(background values)과 오염제어 기준값(reference values)을 개괄적으로 서술하였다. 그리고 중국의 토양 중 PC-DD/Fs의 오염현황과 오염원을 분석한 결과, 중국의 장시(Jiangxi), 광저우 구이위(Guiyu of Guangzhou), 장강삼각주(Yangtze River Delta), 타이완 남부지역(southern Taiwan), 저장 타이저우(Taizhou of Zhejiang), 톈진(Tianjin)의 화학공장 등 6개 지역의 오염이 비교적 엄중하였으며, 주요 오염원은 염소함유 화학물질(chlorine-chemicals)의 생산과 이용, 폐기물 소각(waste incineration)과 제지 생산(pulp production)인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PCDD/Fs에 의하여 오염된 토양의 처리 방법 및 복원 기술을 소개 하였는데 주요 방법은 물리화학적처리 방법, 미생물로 복원하는 방법(microbial remediation), 식물로 복원하는 방법, 식물과 미생물을 결합하여 복원하는 방법 등이 있으며, 또한 이 분야의 미래 연구방향에 대하여 전망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6521330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PCDD/Fs,pollution source,soil contamination,ecological remediation,human health,폴리클로리네이티드 디벤조 파라 다이옥신/디벤조퓨란,오염원,토양오염,생태복원,인체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