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Biodiversity of deep-sea microorganisms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生物多樣性 = Biodiversity science
ISSN 1005-0094,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WANG, Fengping,ZHOU, Yueheng,ZHANG, Xinxu,XIAO, Xia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3-01-01
초록 해양 면적은 약 지구면적의 70%를 차지하며 평균 깊이는 3,800m이고 해저 평균 압력은 38MPa이다. 바다 밑에는 물리화학적 성질이 다양한 여러 지질구조, 예를 들면, 해양 퇴적물, 해양지각(oceanic crust), 열수공(hydrothermal vent) 및 냉천(cold spring) 등을 포함하였다. 이러한 성질이 다양한 지질구조 환경은 풍부한 생물 다양성을 조성하였으며 지구에서 제일 큰 미생물 생태계를 구성하였다. 심해 해수 중, 제일 주요한 미생물 군집은 alpha;-, gamma;-프로테오박테리아(proteobacteria)와 해양 고세균군 I(Marine Group I)이다. 심해 퇴적물 중, 미생물 함량과 유기물 함량은 대륙 플라크의 거리와 관련되며 종속영양 미생물을 주요로 하였다. 심해 냉천 지역에는 혐기성 메탄 산화 고세균(Anaerobic methane oxidizing archaea, ANME)과 유산염환원균(Deltaproteobacteria)이 풍부하게 집중되었으며 심해 열수 지역은 화학물리적 성질을 가진 다양성과 신속한 동적변화로부터 미생물의 고도 다양성이 형성되었다. 해양지각은 주요하게 기성, 초기성암으로 구성되었으며, 풍부한 광물질을 함유하였는데 그 중에는 철, 망간, 유황 등 핵심 대사 반응에 참여한 화학 에너지 독립영양 미생물이 함유되었다. 동시에, 환경 중에는 99%이상의 미생물이 이미 배양한 근친종이 없음으로 하여, 심해 미생물의 다양성, 생리 기능 특성 및 생물지구화학 작용에 대한 이해와 연구에는 여전히 거대한 도전이 존재하였다. 본 논문은 서로 다른 심해 환경으로부터 구분하는 것을 시도하여 심해 해수, 퇴적물, 해양지각, 냉천지역과 열수공 등 특수한 생태환경 중 미생물의 분포와 다양성을 종합적으로 서술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9978350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microbiology,biodiversity,deep subsurface biosphere,microbial ecology,미생물,생물다양성,심층생물권,미생물 생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