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Effects of vegetation types on soil microbial biomass C, N, P on the Loess Hilly Area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生態學報 = Acta ecologica sinica
ISSN 1000-0933,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ZHAO, Yao-tong,YAN, Yao-hao,JIANG, Yue-li,HUANG, Yi-mei,AN, Shao-shan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3-01-01
초록 황토 구릉지역(Loess Hilly area) 옌허강 유역(Yanhe River Basin)의 4가지 전형적인 식생 유형에 따른 토양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토양 미생물 바이오매스 탄소, 질소, 인, 관련 기본 물리화학적 성질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해당 유역의 전형적인 자연 초지, 인공 관목림, 인공 교목림, 농경지의 토양 미생물 바이오매스 탄소(microbial biomass carbon, MBC) 함량은 각각 315.15-400.89, 246.56-321.25, 267.76-347.05, 118.96-245.14 mg/kg였으며, 토양 미생물 바이오매스 질소(microbial biomass nitrogen, MBN) 함량은 각각 35.87-47.63, 27.63-42.89, 24.66-36.20, 15.64-22.56 mg/kg였으며, 토양 미생물 바이오매스 인(microbial biomass phosphorus, MBP) 함량은 각각 14.14-22.96, 12.89-19.75, 11.54-14.40, 7.23-11.59 mg/kg였다. 자연 초지의 토양 미생물 바이오매스가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인공 교목림, 인공 교목림이었으며, 농경지의 토양 미생물 바이오매스가 가장 낮았는데, 이는 퇴경환림환초(경작지를 삼림, 초지로 환원함) 조치가 토양 미생물 바이오매스에 뚜렷한 추진작용을 한다는 것을 설명한다. 서로 다른 식생 유형의 토양 미생물 바이오매스 C/N 비와 C/P 비의 변화 범위는 각각 7.49-10.87과 16.27-24.11였으며, 토양 미생물 바이오매스 탄소, 질소, 인은 토양 유기탄소(soil organic carbon, SOC), 전체 질소(total N, TN), 전체 인(total P, TP)에서 각각 2.70%-4.85%, 2.56%-4.45%, 2.08%-5.34%를 차지하였다. 그 중 자연 초지, 인공 관목림과 농경지 토양의 미생물 바이오매스 C/N 비, C/P 비는 모두 인공 교목림에 비해 낮았다(P lt;0.05). 서로 다른 식생 유형의 MBC/SOC는 뚜렷한 차이가 없었으며, MBN/TN와 MBP/TP는 자연 초지 gt;인공 관목림 gt;인공 교목림과 농경지 순이었으며, 뚜렷한 차이를 나타냈다(P lt;0.05). 미생물 바이오매스 탄소, 질소, 인은 토양 유기탄소, 전체 질소 및 토양 수분 함량과 뚜렷한 연관이 있었으며, 토양 pH값과 다양한 정도의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는데, 이는 식생 유형이 토양 미생물 바이오매스와 밀접한 연관이 있는 물리화학적 성질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설명한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9977693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soil microbial biomass carbon,nitrogen phosphorus,different vegetation types,the Loess hilly area,미생물 바이오매스 탄소, 질소, 인,다양한 식생 유형,황토 구릉지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