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T Cell에서의 Lectin에 의한 Phospholipase lt;TEX gt;$C-{ gamma}1$ lt;/TEX gt; Tyrosine 잔기 인산화를 통한 Phospholipase C의 활성화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한국생화학회지
ISSN 0368-4881,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김희숙,문경호,이영한,윤두희,류성호,서판길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1993-01-01
초록 사람의 $CD4^+$ T임파구 암세포인 Jurkat cell에는 phosphatidyl inositide-specific phospholipase C(PI-PLC 또는 PLC)의 이성화효소인 PLC- ${ beta}1$ , $-{ gamma}1$ , $-{ delta}1$ 이 존재한다. Jurkat cell에 여러 lectin들을 처리하여 $PLC-{ gamma}1$ 의 인산화반응, tyrosine잔기 인산화반응 및 PI-PLC의 활성도 등을 측정하므로써 lectin들에 의한 T세포의 선호전달에 $PLC-{ gamma}1$ 이 관여하는지 검토하였다. Phytohem-agglutinin(PHA), Concanavalin A(Con A), Trichosanthis radix aggutinin(TRA) 등의 lectin을 T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PLC의 활성에 의하여 세포의 막지질성분인 phosphatidyl inositide의 가수분해물인 inositol phosphate들의 축적이 증가하였다. 그중 세포신호전달에 있어 second messenger인 inositol 1,4,5-trisphosphate(IP3)는 30초 내에 이미 최고수준에 달하였다. 또한 처리 후 30초 이내에 $PLC-{ gamma}1$ 의 tyrosine잔기에 인산화가 일어났다. 인산화된 tyrosine잔기의 위치는 T cell의 CD3의 항체인 OKT3를 처리하거나 fibroblast에 성장인자인 PDGF 또는 EGF를 처리한 경우와 같음을 tryptic phosphopeptide mapping으로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들은, T세포의 분화를 유도하는 lectin들이 T세포의 항원수용체와 CD3 복합체(TCR-CD3 Complex) 또는 표면당단백질인 CD4, CD8 등과 결합하거나 상호작용하고 있는 nonreceptor tyrosine kinase(fyn 또는 lck)를 활성화시키고 이들에 의해 phospholipase $C-{ gamma}1$ 의 tyrosine잔기가 인산화됨으로써 세포 외부 신호가 세포내로 전달되고 있음을 암시하고 있다. 이렇게 tyrosine잔기가 인산화되어 활성화된 phospholipase $C-{ gamma}1$ 은 다시 phosphatidyl inositide를 가수분해시켜 second messenger인 1,2-diacylglycerol(DG)과 inositol 1,4,5-trisphosphate(IP3)를 생성하게 하여 T세포의 분화 및 성장을 유도할 것으로 생각된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199334755184040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