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환경이미지 개선을 위한 공공디자인의 역할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기초조형학연구 : 한국기초조형학회 연구논문집 |
ISSN | 1598-8635, |
ISBN |
저자(한글) |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08-01-01 |
초록 | 공공디자인은 주로 공공 공간과 시설, 정보 등 공공적으로 사용되는 모든 영역과 대상의 디자인을 가리키는 것으로 도시환경이미지 개선을 위해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국가의 위상이 높아지고 국민의 전반적인 삶의 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도시환경이나 공공서비스 품질 등 공공 분야에 대한 기대수준이 높아지고 있다. 아울러 긍정적인 도시이미지는 생활환경의 질적 향상을 가져와 시민의 공동체 의식 함양과 친밀감을 높이는 직접적인 정신적 효과뿐 아니라 내 외국인 관광객 유치라는 경제적 효과도 창출하여 도시의 경쟁력 제고에도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마케팅 요소로 대두되었다. 각 국의 여러 도시가 도시이미지 구축을 위한 통합적인 공공디자인 계획을 추진해 나가고 있는 것은 바로 이와 같은 직·간접적인 효과 때문이다. 도시환경 이미지 개선 및 아이덴티티 정립을 위해 공공디자인은 매우 중요한 요소로서 지역문화를 향상시키고 도시개발을 문화산업으로 바꿀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한다. 그러므로 도시공간에서의 삶의 양식으로 문화를 이해하고, 삶을 담아내는 그릇으로서 사람을 위한 공공디자인을 추진해나가야 한다. 또한 지역민의 삶의 질 향상과 더불어 새로운 삶의 문화를 창조할 수 있는 효과를 주기에 주변 환경과 어을리는 공공디자인을 해야한다. 체계적이고 심미적인 공공디자인을 수행함으로서 도시환경을 쾌적하고 풍요로운 생활공간으로 창조하고 나아가 도시전반의 물리적 환경수준을 향상시켜 지역 활성화에 공헌할 수 있게 된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48042592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공공디자인,정체성,문화환경,Public Design,Identity,Cultural Environ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