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ZHAO, Meng-Ran,CHEN, Qiang,ZHANG, Jin-Xia,WU, Xiang-Li,HUANG, Chen-Yang |
초록 |
IGS2-RFLP, SCoT와 ISSR 마커를 이용하여 중국 신장(Xinjiang)의 5개 지점에서 채집한 28개 백영고버섯(Pleurotus nebrodensis) 야생 샘플의 유전적 다양성을 분석하였으며, 이 3가지 분자 마커가 백영고버섯 유전자원의 유전적 다양성 연구에서 미치는 효과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IGS2-RFLP의 3개 제한 효소(restriction endonuclease), 5개 SCoT 프라이머, 5개 ISSR 프라이머는 각각 42, 59와 77개의 다형성 밴드를 검출해냈으며, 그 다형성 비율은 각각 91.3%, 92.4%와 9.8%였다. 또 3가지 마커로 검출해낸 효율적 대립 유전자(effective number of alleles, ne) 수와 평균 예상된 이형접합체율(average expected heterozygosity, Hep)은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이 3가지 마커가 모두 적합한 유전학적 마커로서 백영고버섯의 야생 유전자원에 대하여 다양성 분석을 진행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 다형성 검출률이 가장 높은 마커는 ISSR, E=15.4, Ai=23.4였고, 그 다음으로 IGS2-RFLP, E=14.0, Ai=22.4였으며, SCoT가 가장 낮았는데 E=11.8, Ai=18.2였다. 이 3가지 마커 중에서 SCoT와 ISSR 분자 마커의 클러스터링 결과가 거의 유사하였는데, 즉 모두 비교적 정확하게 샘플의 지리적 기원을 반영할 수 있다는 것이었다. 하지만 이 두 가지의 계통도(dendrogram)가 완전히 똑같은 것은 아니었다. IGS2-RFLP의 마커 효율이 비교적 높고 정확도와 중복성이 가장 좋았으며, 균주의 표준 도감의 제작과 품종 권리(variety right) 보호 중의 균주 감정에 적합하였다. 또 SCoT와 ISSR 마커의 다형성이 높고 정보량이 많았으며, 그 평가 범위 역시 넓어 백영고버섯 유전자원의 유전적 다양성을 연구하는데 더 적합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