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실내 조석(tide)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습지상태(waterlogging) 시간 기울기와 염도 기울기 조건에서 Kandelia candel 묘목의 엽편, 줄기, 뿌리의 N, P, K, Ca, Cl, Mg, Al, Fe, Zn, Cu, B 등 원소의 화학양론 특징 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수문 요소는 Kandelia candel의 서로 다른 기관의 화학양론 특징에 대해 현저하게 영향을 미칠 수 있었다. 묘목의 원소 화학양론은 염도와 습지상태 2가지 유형의 수문 요소 조건에서 서로 다른 응답 특징을 나타냈다. 특히 N, K, Ca, Cl, Mg, Na, Zn, Cu 원소 함량은 서로 다른 정도의 수문 스트레스 조건에서 현저한 차이가 존재하였다. 염도 그룹 내, Na, Cl에 대한 묘목의 선택성 흡수는 염도가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동시에 K, Ca, Mg에 대한 흡수는 약화하였다. 염도의 증가에 따라 서로 다른 기관 중에서 염분(Na, Cl, K, Ca, Mg)의 함량은 융합효과(convergence effect)를 나타냈다. 습지상태 그룹에서 N:P 비율은 3-11이며, 염도 그룹에서 N:P 비율은 6-15이고, 같은 유형의 연구보다 현저하게 작았다. 종합적 분석결과, Kandelia candel 묘목은 N 원소의 제한을 받았으며, P 원소는 시종일관 제한 인자가 되지 못하였다. 수문 스트레스의 강화에 따라 N 제한도 커졌으며, 염도 스트레스는 습지상태 스트레스보다 더 현저하게 나타났다. 화학양론학과 수문학의 분석을 통하여 중국 맹그로브의 보존 및 복원을 정확하게 파악함으로써 주요 맹그로브 식물인 Kandelia candel의 적합한 환경에 대한 과학적 근거를 제공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