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大倧敎의 神觀에 관한 철학적 연구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道敎文化硏究 = Journal of the studies of Taoism and culture
ISSN 1598-7906,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2-01-01
초록 nbsp; nbsp;대종교는 고대부터 내려온 우리 고유의 仙敎, 또는 神敎의 전통을 이어받은 종교로서 고유성을 갖고 있다. 그러면서 대종교의 교리에는 동시대의 다른 민족종교와는 달리 외래종교나 타 종교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은 부분이 보이지 않아 독창성도 갖고 있다. nbsp; nbsp;대종교의 초기 경전은 『三一神誥』와 『神事記』, 『神理大典』과 『會三經』등이라 할 수 있다. 『三一神誥』에 담겨 있는 一神은, 세 가지의 성격을 가지고 있으면서 세 가지의 작용을 하시는 분이다. #xF000;神事記 #xF000;에 나타나 있는 三神은 조화주 한임과 교화주 한웅과 치화주 한검이다. 이에 대해 #xF000;神理大典 #xF000;에서는 “한얼님은 한임과 한웅과 한검이니라.”고 하면서 “나누면 셋이요, 합하면 하나니, 셋과 하나로써 한얼님 자리가 정해지느니라.”라고 하고, #xF000;會三經 #xF000;에서는 “하나이자 셋이니 주체로는 더없는 위에 사무치며, 쓰임으로는 더없는 끝에까지 다하시니라.”라고 하여 一神과 三神을 체용의 관계로 연결시켜 三神一體를 말하고 있다. nbsp; nbsp;대종교의 一神에 대한 관념 속에는 고대부터 내려온 우리 고유의 하느님 신관이 담겨 있고, 三神에 대한 관념 역시 환인[한임]ㆍ환웅[한웅]ㆍ단군[한검]을 중심으로 한 우리 고유의 삼신 관념이 담겨 있다. 그러므로 一神의 성격 속에는 기독교적 유일신과는 달리 초월성과 내재성이 융합되어 있고, 三神의 성격 속에는 환웅이 중심인 「단군신화」와 달리 한임과 한웅과 한검의 역할이 조화와 교화와 치화로서 조화를 이루고 있다. 그러면서도 一神卽三神ㆍ三神卽一神의 상호작용 관계로 연결시킨 대종교의 삼신일체적 신관은 기독교의 삼위일체설과는 달리 執一含三과 會三歸一을 중심으로 한體用論的 神觀이라 할 수 있다. nbsp; nbsp;그러므로 대종교의 신관은 우리 고유의 신관을 이어받아 고유성을 지니고 있으면서도, 초월성과 내재성이 융합된 일신론과 조화ㆍ교화ㆍ치화라는 역할 중심의 삼신론이 체와 용으로 연결된 삼신일체라는 관념을 이루어 나름대로의 독창성도 함께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9886479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대종교,삼일신고,신사기,신리대전,회삼경,삼일신,삼신일체,체용론,DaeJong-Gyo[大倧敎],Sam Il Shin Go[三一神誥],Shin Sa Gi[神事記],Shin Lee Dae Jeon[神理大典],Hwe Sam Kyeong[會三經],Trinitarian[三神一體],the thing and the function's theory[體用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