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옥섬(白玉蟾)의 도심불이론(道心不二論)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道敎文化硏究 = Journal of the studies of Taoism and culture |
ISSN | 1598-7906, |
ISBN |
저자(한글) |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2-01-01 |
초록 | nbsp; nbsp;송대의 도교사상가 백옥섬(白玉蟾, 본명은 葛長庚, 1134?-1229?)은 장백단의 내단사상을 계승, 발전시킨다는 사명감을 지니고 도맥 전수과정을 정리하고 내단사상을 심화시키려고 노력하였다. 백옥섬은 기존의 내단사상에 심성수행의 측면이 부족하다고 느끼고 이를 보완하기 위해 고심하였다. 그 일환으로 그는 도와 마음이 둘이 아니라는 '도심불이(道心不二)'의 관점을 제시하여 마음의 위치를 고양시켰다. nbsp; nbsp;그는 나아가 삼교융합의 시각에 바탕하여 마음수행의 측면을 중심하여 삼교의 회통을 도모하였다. 나아가 그는 육체적 장생을 부정하고 본성의 불사를 주장하였다. 이 경우 원신은 선천일기(先天一氣)와 둘이 아니므로 그가 선천의 원기가 지닌 중요성을 소홀히 한 것은 아니다. nbsp; nbsp;유·불의 수행관과 다른 내단사상의 특징적인 면은 선천기의 회복에서 찾을 수 있다. 백옥섬도 순수한 선천기(命)와 밝은 본성(性) 간에는 상호 영향관계가 있다고 보고 성명쌍수(性命雙修)를 주장한다. 백옥섬 이전의 내단사상은 선불교에서 심성수행의 요소를 찾고 보완하려고 노력하였다. 백옥섬은 한 걸음 나아가 성리학의 심성수행의 요소도 적극 수용하였다. 이는 중파를 비롯한 후기 내단파에서 하나의 전통으로 정착되었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9886486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백옥섬,내단,성명,도와 마음,심성수행,B?y?h?,Naetan(Internal alchemy),Original nature and Primordial chi,Tao and human mind,Practice of mind and original nature harmoniousl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