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G 단백질 β2 서브유닛 유사체 1 유전자(guanine-nucleotide-binding protein beta polypeptide 2-like 1, GNB2L1)가 코딩하는 단백질 키나아제 C 수용체(receptor for activated C kinase 1; RACK1)는 보존성이 아주 높은 고정 단백질(anchored protein)이고, WD40 도메인 단백질 패밀리 구성원이며, 세포 신호 전달 등 생명 과정에서 중요한 작용을 일으킨다. 본 논문은 RACE 기술과 유전자 클론 기술을 이용하여 Paramisgurnus dabryanus와 미꾸라지(Misgurnus anguillicaudatus) 정소 조직의 GNB2L1 유전자 cDNA 서열을 클론하였다. 서열 분석 결과, Paramisgurnus dabryanus의 GNB2L1 유전자 cDNA 서열 전체 길이는 1,115 bp였고, 개방형 해독틀(ORF)의 길이는 965 bp였으며, 317개 아미노산을 코딩하였다. 미꾸라지의 GNB2L1 유전자 cDNA 서열의 개방형 해독틀 길이는 965 bp였고, 317개 아미노산을 코딩하였다. 2가지 미꾸라지의 GNB2L1 유전자가 코딩하는 단백질은 기타 어류 RACK1 단백질과 상동성이 94%~97%였으며, 또한 서로 다른 진화적 지위 개체군의 GNB2L1 유전자는 모두 8개 엑손(exon)과 7개 인트론(intron)으로 구성되었다. GNB2L1 유전자를 표지 유전자로 하여 어류 계통수(phylogenetic tree)를 구축하여 분석한 결과, Paramisgurnus dabryanus와 미꾸라지는 진화 과정에서 근연관계가 가장 가까웠다. RT-PCR 분석 결과, GNB2L1 유전자는 Paramisgurnus dabryanus 성체(adult)의 각 조직에서 모두 발현되었고, 또한 뇌 조직에서 발현량이 기타 조직에 비하여 높았다. 연구 결과, GNB2L1 유전자는 진화 과정에서 보존적 유전자이며, Paramisgurnus dabryanus의 세포 활동 과정에서 중요한 작용을 일으켰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