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Saline-alkaline Tolerant Hydrocarbon-degrading Strains and Study on Their Saline-alkaline Tolerant Characteristics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生物技術通報 = Biotechnology bulletin
ISSN 1002-5464,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ZHANG, Hai-rong,TANG, Jing-chun,SUN, Ke-jing,ZHANG, Qing-min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5-01-01
초록 본 논문은 중국 다강(Dagang) 유전 지역의 석유에 오염된 염분-알칼리성 토양과 기름 함유 오니(oily sludge)에서 10주(strain)의 염분-알칼리 내성(saline-alkaline tolerance) 석유탄화수소 분해균(petroleum-degradation bacteria)을 선별하여 얻은 후 형태 특성, 생리생화학 특성 및 16S rRNA 서열 분석으로 확정한 결과, 해당 균주는 Ochrobactrum, 포도상구균 속(Staphylococcus), Dietzia, 코리네박테리움 속(Corynebacterium), 아크로모박터 속(Achromobacter), 미크로박테리움 속(Microbacterium), 바실루스 속(Bacillus) 등에 속하였다. 액체 배양 실험(liquid incubation experiments)으로 10주 균주의 염분-알칼리 내성을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B07 균주가 3%의 염분에 대하여 내성이 있는 것을 제외하고 기타 균주는 5% 혹은 더욱 높은 염분 환경에 대한 내성이 있었고, 그 가운데 B02과 B05 균주는 염분 농도가 11%에 도달하였을 때에도 비교적 높은 성장 활성이 있었다. 10주 균주는 모두 pH가 9인 알칼리 환경에 대한 내성이 있었고, B01, B03, B04, B06, B09 균주는 pH가 10인 환경에 대한 내성이 있었으며, 그 가운데 B03과 B04는 pH가 11일 때에도 비교적 강한 성장 활성이 있었다. 상술한 연구 결과는 석유탄화수소 분해균은 서로 다른 미생물 종(species) 및 속(genus)에 광범위하게 존재하며, 또한 비교적 좋은 염분-알칼리 내성이 있다는 것을 설명한다. 그러므로 해당 세균은 석유에 오염된 염분-알칼리성 토양 복원에 광범위한 응용 잠재력이 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4217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saline-alkaline tolerance,petroleum contamination,soil,petroleum-degradation bacteria,bioremediation,염분-알칼리 내성,석유 오염,토양,석유탄화수소 분해균,생물학적 복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