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Effects of zinc deficiency and bicarbonate treatments on the characteristics of organic acids of Orychophragmus violaceus and Brassica napus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廣西植物 = Guihaia
ISSN 1000-3142,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ZHAO, Kuan,WU, Yan-you,ZHOU, Bao-hua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5-01-01
초록 본 논문에서는 소래풀(Orychophragmus violaceus)과 유채를 재료로 수경재배 조건에서 +Zn0(Zn 함유, HCO 3 - 를 첨가하지 않은 처리그룹), +Zn10(Zn 함유 및 10 mmol·L -1 의 HCO 3 - 첨가 처리그룹), -Zn0(Zn 결핍 및 HCO 3 - 를 첨가하지 않은 처리그룹), -Zn10(Zn 결핍 및 10 mmol·L -1 의 HCO 3 - 를 첨가한 처리그룹) 4가지 서로 다른 아연 결핍과 중탄산염(Bicarbonate) 이온 스트레스 처리를 설정하였으며, 이온 크로마토그래피 방법을 이용하여 4가지 처리한 두 가지 식물 유묘의 기관(뿌리, 줄기, 잎사귀) 및 근계 분비물 내 유기산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1) 높은 농도의 중탄산염 처리는 두 가지 식물기관 및 뿌리 분비물의 유기산 총량을 뚜렷이 증가하였으며, 특히 아연 결핍과 높은 농도의 중탄산염 이온 이중 스트레스 조건(-Zn10 처리)에서 소래풀 기관과 뿌리 분비물의 유기산은 유채보다 더욱 민감하였다. 옥살산(oxalic acid), 레몬산(citric acid), 사과산(malic acid)은 소래풀 기관과 뿌리 분비물에서의 우세산이었으며, 3가지 유기산의 함량은 각각 유기산 총량의 75% 이상을 차지하였다. (2) 잎사귀는 두 가지 식물이 유기산을 형성되는 주요 기관이었으며, 유기산의 함량과 분배 비율은 지상부(잎사귀와 줄기)에서 지하부(뿌리)로 가면서 점차 줄었다. (3) 두 가지 식물기관과 뿌리 분비물 내 유기산의 변화 추세는 일치하였고, 잎사귀 내 유기산의 주요 원천은 암호흡 과정과 광호흡 과정이었으며 기타 기관과 뿌리 분비물 내 유기산의 주요 원천은 암호흡 과정이었다. (4) 소래풀이 아연 결핍과 고농도 중탄산염 이온에 대한 적응 능력은 유채보다 강하였으며, 소래풀의 카르스트 적합성과 고농도 중탄산염 이온 환경에 대한 생태 회복에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3860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organic acid,plant organs,root exudates,the adaptability to karst,Orychophragmus violaceus,유기산,식물기관,근계 분비물,카르스트 적합성,소래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