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Gametophyte development in Mesopteris tonkineusis and its systematic significance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廣西植物 = Guihaia
ISSN 1000-3142,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LUO, Rao-shan,WANG, Ren-xiang,DENG, Xi-chao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5-01-01
초록 본 논문에서는 개량한 Knop's 영양액 액체 배양기를 이용하여 25℃의 항온 배양기(incubator)에서 Mesopteris tonkinensis의 포자를 배양하였으며 매일 12시간 햇빛을 쪼이고 12시간 암처리 하였는데 빛 강도는 2,500 lx였다. 광학 현미경으로 포자 발아와 배우체 발달의 전체 과정을 관찰하고 기록하였으며 이는 Mesopteris tonkinensis의 계통학적 연구에 배우체 발달 면으로부터 자세한 자료를 제공하였다. 연구 결과, 성숙한 포자는 짙은 갈색이고 투명하지 않으며 양쪽이 비대칭이고 극평면이 타원형이고 적도면은 원각 삼각형이고 단일 균열이 있으며 포자 주변에 리지(Ridge) 모양의 주름이 밀집되어 있다. 파종하고 15일 후 발아하였으며 2~5개 세포 길이의 사상체(conchocelis)가 형성되었다. 포자 발생 유형은 vittaria 형태이다. 단세포성 헛뿌리(Unicellular rhizoids)이 있으며 엽록체를 함유하지 않았고 뿌리 부분이 팽창하였다. 약 20일 후 편상체(plate shape)로 발육하였으며 30일 후 어린 전엽체(prothalli)를 형성하였다. 어린 전엽체는 비대칭적이었으며 성숙된 전엽체는 하트 모양으로 대칭되었다. 56일 후 성숙된 전엽체를 형성하였으며 전엽체의 발육 유형은 공작고사리 형태(Adiantum-type)였다. 어린 전엽체는 좌우 두개의 깃 끝 세포에서만 유상 돌기 모상체(trichome)가 형성되었으며 성숙된 전엽체 변두리 및 앞뒷면에는 소량의 유상 돌기 모상체가 있었고 모상체는 단세포로 구성되었다. 68일 정도 되었을 때 장정기(antheridium)가 발생하였으며 장정기는 구형이고 기저 세포(basal cell), 깃세포(choanocyte), 정모세포(Cap cell)로 구성되었다. 75일 정도 되었을 때 장란기(archegonium)가 발생하였으며 성숙한 장란기의 상부는 3층 세포로 구성되었다. 측면은 기둥 모양이었으며 꼭대기는 구리 표면 형태였다. 장란기를 전엽체 표면과 수직이거나 전엽체 기저부(basin)로 기울어져 있었다. 또한, 이미 알고 있는 처녀고사리과(Thelypteridaceae) 기타 속의 배우체 발생 특성에 의하면, Mesopteris tonkineusis 배우체 발새 특성은 이와 비교적 큰 차이가 있었다. 그러므로 Mesopteris tonkineusis의 계통학적 위치는 한층 더 연구하여야 한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3851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Mesopteris tonkineusis,spore germination,gametophyte development,systematic significance,Mesopteris tonkineusis,포자 발아,배우체 발달,계통학적 의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