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바이오벤처, 화장품 산업에 관심가져야'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Bio news : BN
ISSN ,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03-01-01
초록 본 연구는 coumarine과 ester성분을 함유한 물푸레나무 수피 추출물의 각종 효소의 생리활성 기능과 항산화능을 검토함으로서 의약품 및 화장품 등의 첨가제로서의 사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첫째, 효소학적 생리활성 실험에서 전자공여능은 1ppm에서는 62.00%, 10ppm 이상의 농도에서는 90%이상의 높은 전자공여능을 나타내었고, SOD 유사활성능은 500ppm 이하의 농도에서 10%미만의 매우 작은 유사활성을 보여주었으나, 5000ppm의 농도에서는 84.73%의 높은 활성을 보여주었다. xanthine oxidase의 저해활성을 관찰한 결과 200ppm에서 45.57%의 비교적 낮은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둘째, tyrosinase 저해표과를 관찰한 결과 2000ppm에서 57.51%의 저해효과를 나타내었지만, 500ppm 이하의 농토에서는 매우 낮은 저해효과를 보여 주었다. 이는 물푸레나무 수피 추출물은 미백효과가 낮음을 보여주었다. 셋째, 지방산패도 측정결과 Cu 2 #65291; 이온을 산화 촉진제로 사용했을 때 10ppm의 농도에서 82%의 저해효과를 보여주었고, Fe 2 #65291; 이온을 산화 촉진제로 사용했을 때 100ppm에서 60%이상의 아주 우수한 효과를 보여 주었으며, Fe 2 #65291; 를 산화촉진제로 사용했을 때보다, Cu 2 #65291; 를 산화촉진제로 사용하였을 때가 더 높은 지방산패도 저해효과를 보여주었다. 결론적으로 물푸레나무 수피 추출물의 생리환성 기능과 항산화능은 분명히 나타남을 볼 때 화장품 및 의약품 첨가제로서의 역할온 기대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200372813562230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