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의 뇌조직 Phospholipase C의 활성화에 미치는 G-단백질의 역할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영남의대 학술지 = Yeungnam University journal of medicine |
ISSN | 1225-7737,2234-8042 |
ISBN |
저자(한글) | 김정희,이동진,변영주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1992-01-01 |
초록 | 소의 중추신경계의 신경전달인자에 의한 세포막에서의 정보전달 과정에 관여하는 PLC 활성화에 G-단백질의 관여 여부를 관찰하기 위하여 소의 뇌조직의 PLC ${ beta}$ , ${ gamma}$ 및 ${ delta}$ 를 얻어 각 isozyme의 특성을 관찰하였다. 기질용액에 phosphatidyl choline(PC)을 첨가시 PLC 각 isozyme 마다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증가 양상을 보였으며 PLC ${ delta}$ 는 $100{ mu}M$ $Ca^{2+}$ 농도에서 높은 활성도 증가를 보였다. 세포막 소포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PIP_2$ 기질과 PC에 detergent로 cholate와 deoxycholate 농도에 따른 PLC 효과 관찰에서 cholate 농도 0.2%에서 1%까지 증가할 때 효소 활성도의 지속적인 상승이 관찰되었고, deoxycholate는 농도가 0.2%에서 높았다가 0.4%에서 낮아졌고 1%까지 증가함에 따라 PLC 효소 활성도는 약간 증가하였다. 기질액에 뇌추출액을 첨가하여 cholic acid 농도에 따른 PLC의 효과를 관찰한 결과 cholic acid 농도 0.2%에서 보다 1%에서 각 isozyme 모두에서 PLC활성도가 증가하였다. 소의 여러 장기에서 PLC isozyme의 분포정도를 방사면역측정방법으로 관찰하였을 때 뇌조직에 가장 많이 분포하고 있으며 특히 PLC ${ beta}$ , ${ gamma}$ 가 많았고, PLC ${ delta}$ 는 부신에서 가장 많이 분포하였다. 다음으로 PLC ${ beta}$ 는 부신과 위, PLC ${ gamma}$ 는 부신과 폐순이었다. PLC 효소가 활성화될 때 G-단백질의 관여 여부에 관하여 cholate 0.2%와 0.1%에서 G-단백질과 GTPrS 및 PLC의 결합정도의 관찰은 조직분쇄시료를 소의 뇌 및 부신조직을 이용하여 $^{35}S$ -GTPrS 첨가시와 단세포군 항체를 이용한 경우 모두에서 1.49% 이하의 낮은 결합 정도를 관찰하였다. 그래서 정제된 PLC isozyme과 G-단백질 $Go{ alpha}$ , $G{ beta}{ gamma}$ , Gmix, $Gi{ alpha}$ 및 $Gt{ alpha}$ 각각에 대한 효과 관찰에 서 $Go{ alpha}$ 와 $G{ beta}{ gamma}$ 는 PLC ${ beta}$ 와 ${ delta}$ 의 활성도를 증가시켰고, PLC ${ gamma}$ 는 별 영향이 없었으며 Gmix에서는 세효소 모두 증가시켰다. $Gi{ alpha}$ 는 PLC ${ beta}$ 와 ${ gamma}$ 에서만 증가하였다. $Gt{ alpha}$ 는 PLC ${ beta}$ 및 ${ gamma}$ 에서 억제하였고 PLC ${ delta}$ 에서는 증가 양상을 보였다. 그러므로 PLC 활성화에 G-단백질의 관여가 인지되며 PLC isozyme과 G-단백질의 종류에 따라 대개의 경우 증가하는 경향이나 일부는 억제 내지는 별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199222138610761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PLC lt,TEX gt,${ beta}$ lt,/TEX gt,. lt,TEX gt,${ gamma}$ lt,/TEX gt,. lt,TEX gt,${ delta}$ lt,/TEX gt,. G Protei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