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Doxorubicin과 Fenton 형의 반응에 의해 유도된 독성에 미치는 Aspalatone의 항산화 작용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한국응용약물학회 1995년도 춘계학술대회
ISSN ,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김진,남성원,서정혜,한상화,구창휘,김형춘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1995-01-01
초록 Aspalatone (APT)의 예상되는 항산화 작용을 검색하기 위하여 Doxorubicin(Dox.) 유발독성 (Dox.의 작용 발현 기전은 oxyradical 생성에 의해 매개됨)으로 인하여 변화되는 항산화 효소계 및 과산화지질 생성에 대하여 APT의 효과를 검색하고, 별도로 Hydroxyl radical 생성에 미치는 APT의 효능을 검정하기 위하여 ESR spin trapping technique을 이용하여 ㆍOH/DMPO ESR signal을 검정하여 아래의 결과를 얻었다. Dox 투여 2일 후에 생쥐 심장에서 얻어진 SOD-1의 보상성 유도는 APT 병용 투여로 억제되었고, Catalase 활성을 유도하였으나 MBA 치에는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에 간에서는 APT으로 인하여 GSH-PX가 현저히 유도되었고 (다른 항산화 효소에는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음), MDA 치가 억제되었다. 한편 Fenton 반응동안 증가되었던 ㆍOH/DMPO ESR signal은 APT에 의해 억제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APT의 항산화성 효능이 인정되지만, Dox. 및 APT 각각의 용량 및 노출 시간의 상관성, 그리고 생화학적인 결과에 대한 (미세)조직학적인 확인이 요구되며 각각의 실험군, 즉 aspirin, maltol에 대한 효능/효력 검정도 추가로 보완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PAP&cn=NPAP07972457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