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Chitosan 유도체를 합성하는 과정에서 각 단계별 화합물들의 특성을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해조펄프와 β-chitosan 유도체 그리고 NDHPCTS와의 염소치환 전분 화합물은 물리적 강도가 우수하여 피부접합제로 활용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 또한 결합 조직력이 우수하여 300℃에서 천천히 분해하는 것으로 나타나 열적 저항성이 우수할 것으로 보며, 해조펄프 적용으로 흡착효능이 높을 것으로 본다. 그리고 Cl-starch : pulp = 5 : 3(mole ratio), Cl-starch : N-2,3-dihydroxychitosan derivative = 1 : 1(mole ratio). 온도는 60℃에서 수행하였다. TGA와 DSC curves는 N 2 와 air하에서 주로 300℃에서 거의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용해도, 생물학적 분해도가 크게 개선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피부 미용제나 상처 치유제등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본 연구는 현재 상처 치료용으로 사용되는 붕대나 가제 등의 면직물에 항균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생체 친화성과 키토산에 항균성이 우수한 여러 가지 유도체를 결합시키거나 블렌딩하는 경우 양이온 증가로 인한 항균성증가를 나타낼 수 있으며 그리고 기타 해조류 성분이 갖는 펄프를 결합하여 흡수 기능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키토산의 항균효과를 극대화시켜 기존의 부직포에 물리화학적 성질을 변화시키지 않고 섬유에 항균기능을 도입할 수 있다. 또한, 본연구에 의해 제조된 부직포 및 거즈 면실로는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의료용 거즈에 비해 항균성이 우수하고, 의약품등을 고정화시켜 생체 외 DDS 특성을 나타낼 수 있는 이점이 높아 앞으로 의약 부외품으로의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키토산은 생분해성이며 생체에 적합한 고분자로서 약물전달에 유용한 물질이다. 특히 구강 투여시 pH가 낮은 위에서 빨리 분해 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해조펄프 및 전분과의 결합으로 가교시키는 방법으로 약물전달 및 약물방출제의 고정화에 활용할 수 있는 해조 펄프를 함유한 상처 치료용 β-chitosan 스펀지를 제조하였다. 약물 적용은 안 했으나 지지체로의 우수한 가능성은 구조특성 및 기타 물리적 특성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앞으로 상처 치유에 관련한 피부 접합성 여부와 약물 혼합체에 대한 응용연구는 가까운 시일 내에 연구를 추진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