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hibitory of Bacillus vallismortis to Trichoderma parasitized in Lentinus edodes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微生物學通報 = Microbiology |
ISSN | 0253-2654, |
ISBN |
저자(한글) | HAO, Jie,LI, Yang,CHEN, Fei,WANG, Ping,LI, Li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3-01-01 |
초록 | [목적] 트리코델마(Trichoderma)는 식용균 생성과정에서 감염률(Infection rate)이 비교적 높은 잡균이며 일반적으로 화학약품을 사용하여 제거한다. 그러나 이는 농약의 잔류 문제를 야기하며 따라서 근권세균(Bacillus vallismortis)을 이용하여 트리코델마를 방제(억제)하는 연구를 추진한다. [기법] 우선, 트리코델마를 억제하는 근권세균의 성분은 세포내 물질인가 또는 세포외 물질인가를 확정하였다. 다음으로, 효과적 물질의 추출을 거쳐 그 물리화학적 특성의 안정성을 분석하였다. 최종적으로, 버섯 재배 재료 중에서의 기초적인 응용 효과를 연구하였다. [결과] 추출한 근권세균의 세포외 분비물은 리포펩타이드(Lipopeptide)에 속하였으며 트리코델마의 포자 발아와 균사 성장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었다. 그 억제 속도는 0.02g/L로서 62.8%의 억제율(Inhibition rate)에 이르렀으며 버섯 균사 성장에 미치는 영향은 비교적 작았으나 물리화학적 특성은 비교적 안정적이었다. 버섯 재배 재료 중에 26.6%의 36시간동안 근권세균 발효액을 첨가하면 트리코델마 균사에 대한 억제 정도가 제일 높으며 방제효과도 비교적 이상적이라는 것을 보여주었다. [결론] 근권세균이 생성한 세포외 분비물은 트리코델마에 우수한 억제효과를 나타냈으며 버섯 균사 발아에도 일정한 억제효과를 나타냈으나 농약 잔류를 감소하는 문제를 고려해볼 때, 더 한층 연구해야 할 가치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6519629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Bacillus vallismortis,Trichoderma,Lipopeptide,Biocontrol,근권세균,트리코델마,리포펩타이드,생물학적 방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