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가. 젖소분을 이용하여 관행사육과 상자사육방식을 비교한 결과 단위면적당 3,000g(15 ${ times}$ 15 ${ times}$ 30,cm)으로 관행방식과 차이가 없었다. 나. 지렁이의 수직분포는 15cm이상에 대부분 분포하고 있었으나 관행방식은 0 ${ sim}$ 10cm에서 고르게 분포되어 있었으나 상자사육에서는 0 ${ sim}$ 5cm에 70%이상이 분포되어 기계화 채취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다. 분변토 분리 및 배출시험을 위하여 로드셀을 켈리브레이션 하였으며 이때 출력전압(v)과 중량과의 회귀관계는 Y = 0.004X + 1.0995로 나타났다. 라. 분변토 분리 및 배출 시험을 한 결과 축분처리상자를 개량전에는 분리 및 배출장치의 압축력이 평균 1.2kg/cm $^{2}$ , 1.4kg/cm $^{2}$ 로 나타났으며 축분처리상자의 배출구를 1cm 높이고 폭을 10cm 줄여 개량후 배출장치의 압축력이 평균 0.6kg/cm $^{2}$ , 0.5kg/cm $^{2}$ 로 압축력을 50%, 64%절감 시킬 수 있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