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SGR B2 지역에 있는 HCO+ 분자운의 특성 연구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space sciences
ISSN 1225-052x,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04-01-01
초록 우리은하중심에 있는 Sgr B2 분자운 지역에 대하여 $HCO^{+}1-0$ 천이선을 관측하여 이 지역의 역학적, 화학적 특성을 연구하였다. 이 지역에는 속도가 ${ sim}50$ 과 ${ sim}100kms^{-1}$ 인 가스 구름이 상호작용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이에 의하여 Sgr B2 분자운의 새로운 별-탄생이 촉진될 수 있다고 여겨진다. 속도성분이 ${ sim}50kms^{-1}$ 인 지역에서, 뚜렷한 가스 집중을 보이는 'OF38 분자운'('Odenwald Fazio FIR 38' Cloud)이 새로이 발견되었다. 이 분자운의 $HCO^+$ 칼럼밀도는 $N(HCO^+)=(2-5){ times}10^{14}cm^{-2}$ , 크기는 약 15pc이며, 총 질량은 약 $10^6M_{ odot}$ 으로 계산되었다. 그리고 이 Sgr B2 지역에는 속도 범위가 $100kms^{-1}$ 에 이르는 큰 규모의 터뷸런트한 컴포넌트가 넓게 퍼져 존재하며, 이 성분의 $N(HCO^+)=1{ times}10^{13}cm^{-2}$ 으로 상당한 양으로 존재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 지역에서 관측되는 $HCO^+$ 의 생성반응은, 기존에 제안되었던 $H^{+}_3$ 와 CO의 반응보다는, 충격파의 영향에 의하여 증가하는 $C^+$ 와 OH의 반응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생성될 것으로 보인다. 새로이 발견된 'OF38 분자운'의 물리 화학적 특성을 밝히는 일은 앞으로의 과제라고 생각한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200425720304809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SM,interstellar molecule,galactic center,Sgr B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