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호흡하고 성장하는 우리 은하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사이언스 올제 = Science ollze
ISSN 1599-2500,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Wakker, Bart P.,Richter, Philipp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04-01-01
초록 본 논문은 8년간 장기 공연되었던 한국 뮤지컬 〈블루 사이공〉을 본 '나'의 관객 체험을 소재로 하여, 그 '나'가 '나의' 감정의 칸막이들로 들어와 있는 중첩적 경계들을 관통하여 '시민'으로 진화되는 실천적 과정을 분석적으로 고찰하고 있다. 여기에서 '나'는 '나의' 인생과 무관한 베트남 참전 군인이자 고엽제 피해자인 김 상사, 그의 적이자 애인인 베트콩 여인 후엔, 그가 후엔과의 사이에서 난 이국적의 아들, 그리고 그의 고엽제 후유증을 고스란히 물려받은 같은 국적의 딸과 계속 대변하는 과정에서, '0) 자기(나)'를 포인트 제로(영점)의 시발점으로, 1) 성性, 2) 가족, 3) 친구, 4) 이웃, 5) 지역, 6) 직업 조직/비조직(자기실현 현장), 7) 비공식 집단(소수자 집단), 8) 계급, 9) 사회, 10) 국가, 11) 민족, 12) 국제기관, 13) 인류 차원의 세계 사회 등이 겹겹이 경계를 이루면서 나의 삶의 현장에 포진하고 있음을 확인한다. 즉 “'나'-정체성은 중첩적 다경계성을 갖는다.” 그런데 이런 구조 속에 놓여진 '나'의 삶이 현존하는 모든 남과의 상생을 도모함에 있어서 가장 강력한 부정적 경계 또는 장애물은 국가와 민족, 좀 더 정확하게 말하자면 정치에서의 현대성을 구현하는 국민(민족)국가들 사이의 경계에서 발견된다. 국민국가 또는 민족을 주제로 한 비판적 담론들은 베네딕트 앤더슨의 상상된 공동체로서의 민족 개념을 민족실체론과 대비시키면서 민족허구론을 도출하고, 그것을 근거로 민족부정론을 전개한다. 니시카와 나가오와 고자카이 도시아키 등의 일본의 비판적 학자들이 제기하는 만족 비판 담론들은 모두 이런 논증 선 위에서 움직인다. 그러나 필자는 '민족'이라는 것에 시대와 공간을 초월하는 그 어떤 '실체성'이 있어 그것이 민족에 불변의 정체성과 연속성, 더 나아가 거주지를 불문하고 그 민족 구성원 전체에 동질성을 부여한다고 주장하는 '민족실체론'을 전면적으로 부정한다고 해서 '민족은 허구'라거나 '민족은 없다'라는 결론은 나오지 않는다는 점을 지적한다. 오히려 상상된 공동체로서의 민족은 구성원 개인 간의 상호 작용이 만들어내는 산물이면서 그 개인들의 주관으로부터 분리되어 독립된 운동 방식을 갖춘 현실적 실존체로 파악된다. 바로 이런 민족 또는 국가실존론을 바탕으로 할 때 비로소 현존하는 국가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실천적 개입, 즉 시민적 개입의 교두보가 확보된다. 이런 점에서 1994년 미국의 인문사회학계에서 벌어진 애국주의-세계시민주의 논쟁은 쟁점 제기의 수준에서 일본의 비판적 지식인 그룹에서 제출한 민족허구론보다 훨씬 진일보한 것으로 평가된다. 그런데 참으로 미묘하게도 미국 학계의 이 논쟁에서 급진적 세계시민주의가 그 자체로서 전폭적으로 긍정되지 않는 반면 국수적 미국중심주의는 철저하게 부정된다. 논쟁의 대체적 결론은 세계시민주의의 가치 내용들을 미국 국가의 이념적 지향으로 수용하고, 미국 국가에 대한 애국은 바로 그런 한에서 정당화된다는 쪽으로 귀결된다. 바로 이 지점에서 민족과 인류를 매개하는 국가 내 실존으로서의 '시민'의 참여가 '나'의 정체성을 규정하는 제약 조건이자 동시에 실현 조건인 중첩적 다경계들을 관통하면서 '나이고자 하는 것'을 획득하는 추진력으로 부각된다. 바로 이 실천적 주체로 '나'-정체성이 전화되고 진화된 바로 그 실존 형태를 필자는 '시민'이라고 명명한다. 시민은 자기가 소속한 국가를 떠나지 않고 자기 삶의 각종 현장에 투신함으로써 자기 국가의 야만성을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48045850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