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Electrophysiological study of BDNF gene-modified mesenchymal stem cell transplantation to repair transversely hemisectioned spinal cord injury in rats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中國實驗動物學報 = Acta laboratorium animalis scientia sinica
ISSN 1005-4847,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JI, Meng,LIU, Yu-qiu,ZHAO, Jing-jie,JIN, Cheng-wen,LI, Xin,WEI, Zhi-xin,WANG, Xiao-cui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목적 : 전기생리학의 연구 방법을 이용하여 뇌유래 신경영양인자(BDNF: Brain Derived Neurotrophic Factor, BDNF) 유전자가 수식한 골수 중간엽 줄기세포(bone marrow derived mesenchymal stem cell)가 척수손상(Spinal cord injury)에 대한 복원 작용을 관찰한다. 방법 : 임의로 쥐를 3개 그룹으로 나누었으며, 즉 대조군 10마리[신경판(neural plate)만 절제하고, 척수경막은 노출함], SCI 그룹 10마리, SCI 수술 후 세포 이식 그룹 10마리로 설정하였다. 이 3개 그룹으로부터 임의로 8 마리 취하여 세포 이식 1일,7일, 14일, 21일, 30일, 60일 후 체성감각 유발전위(Somatosensory evoked potential, SEP), 운동유발전위(Motion Evoked Potential, MEP) 등 전기생리학 검출 기술을 진행하였으며, 쥐의 운동 평점 회복 정도를 관찰하였다. 결과 : 세포 이식 4일 후, 쥐의 음식 섭취와 활동은 증가하기 시작하였다. 뒷다리 변화 과정은 아래와 같았다. 즉 손상 1~4일 후, 손상된 부분의 뒷다리에 이완성 마비(flaccid paralysis)가 진행되었으며, 다리를 끌며 걸었고, 손상 맞은켠 부분의 뒷다리는 손상 초기의 운동이 약화한 부분은 점차적으로 회복하기 시작하였으며, 손상 5~9일 후 손상된 부분의 뒷다리에 경려성마비(spastic paralysis)가 진행되었다. 10~14일 후 손상된 부분의 아랫다리는 회복하여 조금 활동할 수 있었으며, 손상 맞은켠 부분의 뒷다리는 손상되기 전보다 조금 약한 상태로 회복하였다. 15~21일 후 손상된 부분의 뒷다리 활동 능력은 전에 비해 뚜렷하게 개선되었으며, 30일까지 손상된 부분의 뒷다리 활동 능력 및 근장력(muscular tension) 회복 정도는 가장 뚜렷하였고 30일 이후에 더 뚜렷하게 개선된 현상을 볼 수 없었다. 면역조직화학법 결과, 손상된 부분에서 유도 표기된 골수 중간엽 줄기세포는 생존하였으며, 행동학 관찰 결과, 세포 이식은 손상된 쥐 운동 능력을 개선하였다. 결론 : 골수 중간엽 줄기세포는 BDNF 유전자 수식을 거쳐 척수손상 쥐의 신경 재생 및 부분적 전달 기능 회복을 촉진할 수 있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1006713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Mesenchymal stem cells,BDNF gene,Spinal cord injury,Electrophysiology,골수 중간엽 줄기세포,BDNF 유전자,척수손상,전기생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