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WANG, Yun-xia,WANG, Qi,ZHOU, Hui-yun,GUO, Xiao-ling,WANG, Ying,XU, Ning-ying |
초록 |
miRNA(microRNA)는 내인성 비코딩 RNA로, 세포의 생장 발육, 분화, 증식과 사멸 등 생리학적 과정에 참여한다. 돼지(Susscrofa) 갑상선의 생장 발육 및 갑상선 세포 사멸에 대한 miR-let-7a의 조절작용을 연구하고자, 면역형광 기술을 이용하여 요크셔 돼지(Yorkshire Pig)의 갑상선 조직 및 체외에서 배양한 갑상선 세포를 감정하였으며, 실시간 형광 정량 PCR(qRT-PCR)을 이용하여 다양한 생장단계의 요크셔 돼지의 갑상선 조직 내 miR-let-7a의 발현량 변화를 검출하였다. miR-let-7a을 mimics에 형질주입한 후, 유동세포 계수법을 이용하여 형질주입 그룹과 비형질주입 그룹의 갑상선 세포 사멸률의 차이를 검출하는 동시에, miR-let-7a과 세포 사멸 관련 유전자의 표적관계를 예측하였다. 연구 결과, 갑상선 조직과 세포 내 티로글로불린(thyroglobulin, TG)은 녹색 형광을 생성하였는데, 이는 체외에서 배양한 갑상선 세포가 정상적인 기능을 갖고 있다는 것을 설명한다. qRT-PCR 결과, 배아기에 배아 연령이 증가할수록, miR-let-7a의 발현량이 점차 증가하였다. 출생 후 miR-let-7a의 발현량이 감소하였으며, 60일령에 생장기의 최소치에 달한 후, 다소 증가하였다. 90일령 후 그 발현량이 다시 감소하였으며, 120일령 후 일령의 증가와 더불어 let-7a 발현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사멸 결과를 통하여, 대조군에 비해 형질주입 그룹의 세포 사멸률이 뚜렷하게 증가하였다는 것을 발견하였다(P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miR-let-7a의 발현이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갑상선 세포 사멸의 조절과정에 영향을 미친다고 추정하였다. 연구 결과는 돼지 갑상선 miR-let-7a의 기능 메커니즘을 심층 연구하는 데 유용한 단서를 제공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