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20세기 50년대 이후 태양에서 지구에 복사하는 단파복사량(short-waved solar radiation)은 매 10년마다 2.7% 감소되어 ldquo;지구 흐리기(global dimming) rdquo;를 초래한다. 이는 식물 및 그에 따른 생태계의 기능에 영향을 미치나, 지금 이러한 영향에 대한 연구과정에서 일치한 결론을 얻지 못하였다. 본 논문은 서로 다른 정도의 응달(shading) (0, 30%, 50%와 70%)로 지구 흐리기 효과를 시뮬레이션하여 중국 북부지역 초원에서 우점 식물인 양초(Leymus chinesis)의 종집단 밀도(population density), 형태 지표(morphological features)와 광합성 생리(photosynthetic physiology) 등 요인이 응달에 대한 반응을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응달은 양초 가지의 밀도를 조금 감소시켰고, 가지의 길이와 잎면적(leaf area)을 뚜렷하게 증가시켰으며, 결실율(heading rate)을 증가시켰고, 또한 응달은 양초의 광합성 작용에 이용되는 유효 복사량(effective radiation)을 뚜렷하게 감소시켰으며, 0, 30%, 50%의 응달 조건에서 양초의 기공 전도도(photosynthetic rate), 광합성 속도(transpiration rate)와 증산 속도(transpiration rate)는 ldquo;낮에 수면하는 현상(afternoon depression) rdquo;이 나타났고, 70%의 응달 조건에서 기공 전도도, 광합성 속도와 증산 속도는 11:00~16:00시 사이에 기타 응달 조건에서보다 높았고, 또한 광합성 속도와 증산 속도는 ldquo;낮에 수면하는 현상 rdquo;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ldquo;낮에 수면하는 현상 rdquo;의 사라짐은 아마도 일정한 정도의 응달 혹은 지구 어둠(dimming)이 일부분 식생의 생산력 증가를 유발하는 중요한 원인 중의 하나일 수 있다는 것을 설명한다. 여러 가지 유형의 생태계통이 지구 어둠(global dimming)에 대한 반응을 더욱 정확하게 예측하기 위해서 응달에 대한 더욱 많은 지역, 더욱 많은 서식환경(habitat types), 더욱 많은 개체군과 많은 생육단계의 식물 반응을 연구하여야 하며, 또한 메타분석(meta-analyses)과 모델분석(model studies)을 진행하여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