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GAO, Peng,FU, Tong-gang,WANG, Ke-lin,CHEN, Hong-song,ZENG, Fu-ping |
초록 |
본 논문에서는 격자 샘플링(grid sampling) (80m X 80m)을 기반으로 하고, 또한 고전적 통계학(classical statistics)과 지구 통계학(geostatistics) 방법을 이용하여 전형적인 카르스트 봉우리 침강 지역 소유역(small catchment in a typical Karst cluster-peak depression area)의 163개 표층토양(surface soil)(0~20cm) 표본점(sampling point)에서 미량원소(trace elements)[납(plumbum,Pb), 크롬(chromium, Cr), 니켈(nickel, Ni), 구리(copper, Cu), 아연(zinc, Zn), 붕소(boron, B)]의 공간 이질성(spatial heterogeneity)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 지역의 토양 중 6가지 종류 미량원소 차이 및 변이계수(coefficient of variation)는 비교적 크고, 평균 함량의 크기 순서는 Zn gt;Cr gt;Ni gt;Pb gt;B gt;Cu 이고, 평균 변이 정도는 Ni gt;Cu gt;Zn gt;Pb gt;B gt;Cr인 것으로 나타났다. 서로 다른 미량원소는 서로 다른 공간 구조와 최적 적합 모델(fitted model)이 있었으며, 또한 미량 원소 중 Cr가 중등 정도의 공간자기상관성(medium spatial autocorrelation)이 있고, 가변거리가 비교적 길고(longer range), 공간 관련성이 비교적 우수한 것을 제외하고는 기타 5가지 종류 원소는 아주 강한 공간자기상관성이 있고, 가변거리가 짧고, 공간 의존성(spatial dependence)이 비교적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6가지 종류 미량원소의 Kriging 등고선 지도(Kriging contour maps)는 비교적 유사하였는데 이는 연구 지역의 토양 중 미량원소 함량은 유사한 분포 특성이 있다는 것을 설명한다. 그 분포 특성은 동쪽 지역에서 미량원소 함량이 높고, 남쪽과 북쪽 지역에서 낮고, 침강 지역에서 높고, 경사지역에서 낮았다. 인위적인 교란과 자연조건[식생(vegetation), 노출된 암석 비율(bare rock rate), 경사도(slope), 경사방향(aspect)]은 토양 미량원소의 공간적 이질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