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Spatial heterogeneity of soil nitrogen and phosphorus under different land use patterns in depressions between karst hills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生態學雜志 = Chinese journal of ecology
ISSN 1000-4890,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TANG, Cheng,DU, Hu,SONG, Tong-qing,PENG, Wan-xia,ZENG, Fu-ping,YANG, Gai-ren,LIANG, Zhi-xia,LU, Cheng-ya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3-01-01
초록 그리드(5m×5m) 표본수집법(grid sampling method)으로 토양 샘플을 수집한 후 전통적 통계법(classic statistics)과 지구통계법(geo-statistics)을 이용하여 카르스트 봉우리 경사지역(depressions between karst hills)에서 서로 다른 토지이용 방법[연소처리 토양(burned land), 예초처리 토양(mowing land), 초지(grassland), 봉육지(fenced land)]으로 깊이가 0~20cm되는 통양층 중의 질소(nitrogen, N), 인(phosphorus, P)의 공간적 변화 특성을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지역에서 4가지 서로 다른 토지이용 방법의 토양 중 총질소(total nitrogen, TN), 총인(total phosphorus, TP), 유효질소(available nitrogen, AN), 유효인(available phosphorus, AP)은 모두 중등수준으로 변화되었는데, 함량은 각각 5.40~6.26 g/kg, 1.24`1.44 g/kg, 365.87~507.32 mg/kg, 3.91~8.04 mg/kg이고, 또한 봉육지, 연소처리 토양의 품질은 초지와 예초처리 토양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가지 토지 이용방법에서 연소처리 토양 중 AN, 연소처리 토양 중 AP, 예초처리 토양 중 AN, 봉육지 중 TN의 분포에 제일 적합한 모델은 구형모델(spherical model)이고, 연소처리 토양 중 TN, 예초처리 토양 중 TN, 예초처리 토양 중 AP의 분포에 적합한 모델은 지수함수 모델(exponential model)이며, 기타 지표에 제일 적합한 모델은 가우시안 모델(Gaussian model)인 것으로 나타났다. 예초처리 토양 중TP, 연소처리 토양 중 TP, 초지 중 TP, 예초처리 토양 중 TN, 연소처리 토양 중 AP, 초지 중 AP, 봉육지 중 TP의 분포는 매우 강한 공간자기상관성(spatial autocorrelation)있고, 기타 토양양분의 분포는 중등 수준인 공간자기상관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4가지 토지이용 유형의 토양 중 TN와 AN, TP와 AP의 분포는 유사한 공간분포패턴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소처리, 예초처리 토양 중 TN과 AN는 오목형(concave)으로 분포되고, TP와 AP는 단봉형(unimodal)으로 분포되었으며, 또한 토양 중 TN, AN, TP, AP의 함량은 중등 수준의 경사지역(slope position)에서 제일 높고, 경사도가 높은 지역과 경사도가 낮은 지역 방향으로 점차적으로 감소되었다. 초지 중 TN, AN, TP, AP 등 4가지 양분함량은 경사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되었으며, 봉육지 중 4가지 양분함량은 오목형으로 분포되었는데 중간 지역에서 함량이 제일 낮고, 중간 지역으로 부터 양쪽으로 조금씩 증가되었다. 토지이용 방법의 변화는 카르스트 봉우리 경사지역의 토양양분 품질을 변화시켰으며, 또한 토양양분의 공간 분포패턴 변화를 초래하였다. 그러므로 파편화된 토양(broken landform), 얕은 토양(shallow soil)의 카르스트지역을 생태회복(ecological restoration) 및 복원(reconstruction)하는 과정에서 적합한 이용방법으로 카르스트 지역을 보호 및 적절하게 개발하여 훼손된 생태계통의 토양 품질을 향상시켜야 한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9976606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soil nitrogen and phosphorus,spatial heterogeneity,land use pattern,depressions between karst hills,토양중 질소 및 인,공간 이질성,토지이용 방법,카르스트 봉우리 와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