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LIU, Kai-ge,ZHU, Yue-lin,HAO, Ting,SONG, Yun-peng,GONG, Fan-rong |
초록 |
'P13201' 피망(sweet pepper) 품종을 재료로 하고, 햇빛 조명 배양상자 내에서 영양액 재배법을 이용하여, 엽면에 사전 살포한 다양한 농도의 6-BA(5, 10, 20, 50 μmol/L) 용액이 고온 스트레스(40℃/30℃ 낮/밤)에서 피망 유묘의 생장 및 생리생화 지표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으며, 피망의 고온 스트레스를 완화시키는 최적 6-BA 농도를 탐구하였다. 탐구 결과, (1) 고온 스트레스는 피망 유묘의 각 생장 지표와 엽록소 함량을 뚜렷하게 감소시켰으며, 10 μmol/L 6-BA 처리에서 식물체 높이, 줄기 굵기, 지상부 건조중량, 뿌리 건조중량과 상온 대조군(28℃/18℃ 낮/밤) 차이는 뚜렷하지 않았고, 유묘의 지상부 생중량, 뿌리 생중량, 엽록소 a, 엽록소 b 및 엽록소 총 함량은 각 처리에서 감소폭이 가장 작았다. (2) 고온 스트레스에서 피망 유묘 엽편의 PSⅡ 실제 광화학 양자수율(Yield), PSⅡ 실제 광화학효율(Φ PS Ⅱ ), PSⅡ 최대 광화학효율(F v /F m )은 뚜렷하게 감소하였으며, 비광화학 담금질 계수(NPQ)는 뚜렷하게 증가하였다. 기타 처리그룹에 비해 10 μmol/L 6-BA 용액 처리에서의 각 형광 파라미터 변화 폭은 가장 작았으며 특히 NPQ와 대조군 차이는 뚜렷하지 않았다. (3) 피망 엽편 중 O 2 .- 생성속도, 항산화효소(SOD, APX, POD) 활성, 말론디알데히드(MDA) 함량 및 상대전도율은 고온 스트레스를 받은 후 뚜렷하게 커졌으나, 10 μmol/L 6-BA 용액 처리에서 O 2 .- 수율, MDA 함량 및 상대전도율은 T 0 처리(증류수+고온)에서 각 값보다 뚜렷하게 작았고, SOD, APX, POD 활성은 반대로 나타났으며, T 0 처리에 비해 50.5%, 79.4%, 50.3% 향상하였다. 연구 결과, 고온은 피망 유묘의 정상적 생장을 뚜렷하게 억제하여, 엽편 중 각 스트레스 내성의 생리생화 지표 변화 폭을 증가시켰다. 엽면살포에 적합한 농도의 6-BA는 고온 스트레스에서 항산화효소 활성의 증가 및 광에너지 포획과 전환에 유리하고, 고온 스트레스에 의한 피해를 효과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으며, 피망 유묘의 정상적인 생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10 μmol/L 6-BA 용액에서 처리 효과가 가장 양호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