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1972년에 Lovelock가 가이아 가설(Gaia hypothesis)을 제기한 지 40년이 지났지만 이를 둘러싼 논쟁은 종래로 멈추지 않았다. 가이아 가설은 반대자의 비평과 지지자의 증명 과정에서 부단히 발전하였다. 현재, 가장 극단적인 형식의 가이아 가설 특히, 현저한 목적론을 가진 가설은 이미 기본적으로 없어졌다. 다른 한편, 약형(weak form) 가이아 가설이 제기한 '유기체는 그들의 환경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유기체와 환경의 피드백 결합은 양자의 진화를 이룰 수 있다'는 두 관점도 이미 보편적으로 접수한 사실이다. 이 밖에, 가이아 가설이 제기한 기타 3개 명제는 논쟁의 도마에 있다. (1) 내재적 평형의 가이아: 생물조절 피드백은 환경의 내재적 평형에 도움이 된다. 반대자들은 생물 피드백이 지구환경을 안정되게 한다는 견해는 빙하코어 기록과 대량의 기후 피드백 연구결과와 모순된다고 주장한다. 지지자들은 지구생물-환경시스템의 내재적 평형은 정적 및 부적 피드백의 결합에서 생성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가이아 가설에서 보여주는 주 관심사는 지구 몇십억년의 역사이다. 가이아 가설은 비교적 짧은 시간 척도 내에서 반증 가능하지만 이것은 비교적 긴 시간 척도 내에서도 반증 가능하다는 것을 뜻하지 않는다. (2) 최적 가이아: 생물은 환경을 조절하여 환경이 생물의 생존에 더 적합하도록 한다. 유기체의 번영은 주로 이들이 환경에 대한 개변인가 아니면 이들이 환경에 대한 적응인가 하는 것은 아직 결론이 나지 않았다. 그러나, 가이아 지지자들은 생물-환경 시스템이 교란을 받거나 붕괴될 때 주도적 과정이 나타난다고 주장한다. 비교적 강한 환경 피드백 시스템을 가지어 신속하게 새로운 상태로 과도하기 쉽고 적응이 주도하는 과정은 비교적 완만하게 변한다. 반대자들은 생물이 생물조절 작용을 통하여 환경 조건에 영향을 미치어 자체가 수혜를 받도록 한다는 것에 동의하지만 생물이 우선적으로 환경 조건에 적응하고 자연 선택을 통하여야만 번영발전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지구가 이러한 환경 조건을 형성한 것은 순수히 일종의 행운일 가능성이 아주 크다. (3) 자연 선택의 가이아: 생물조절 피드백은 다윈식(Darwinian)의 자연 선택에서 생성되었다. 반대자들은 '자연 선택은 생명 효과를 지지한다'는 견해는 보편적으로 유효하지 않으며 유전 특징이 보유자에 번식 우세를 부여할 때에만 자연 선택이 이를 지지한다고 주장한다. 자연 선택은 메커니즘이지 원칙이 아니다. 지지자들은 자연 선택은 가이아 시스템 환경 조절의 필요 조건이 아니라고 주장한다. 부산물에 기반한 자연 선택은 많은 진화론자들이 제기한 종의 협력중의 속임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자연 선택은 생명을 촉진하는 효과를 언제나 지지하는 것은 아니지만 유전 특징이 보유자가 비보유자보다 수혜를 받도록할 때 자연 선택은 특징 보유자가 진화 우세가 생기도록 할 수 있다. 비록 논쟁이 여전히 존재하고 지속되고 있지만 가설 생산자로서의 가이아 가설은 이미 그 가치를 증명하였다. 그러나, 인류활동이 생물권에 미치는 영향이 부단히 증강하는 배경아래에서 가이아 가설은 반드시 인류활동과 상호 결합하여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필연적으로 희미해질 것이며 또한, 기타 이론 혹은 가설에 의해 대체될 것이다. 이러한 기초상에 미래에 가이아 가설 연구자들은 계속하여 생물권에 응용할 수 있는 일반적 원칙을 탐구하고 체계적인 사고 방법을 견지해야 한다. 구체적인 방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