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Growth,Photosynthesis and Fluorescence Characteristics of Begonia fimbristipula and Gynura divaricata under Different Light Conditions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西北植物學報 = Acta botanica boreali-occidentalia sinica
ISSN 1000-4025,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CHENG, Xiang-rong,SHU, Jun,LIU, Jia,WANG, Wan,YU, Mu-kui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Begonia fimbristipula와 Gynura divaricata 2가지 우수한 야생 야채를 연구 대상으로 하여, 자연 전체 빛(Full light, L 0 ), 울폐도가 약 50%인 산림 내 빛(L 1 ), 울폐도가 약 70%인 산림 내 빛(L 2 ) 등 3가지 빛 환경에서 식물체의 생장 및 광합성과 형광 파라미터 변화를 연구하였으며, 그 내음성(shade tolerance) 및 산림 간작의 실행 가능성을 확정하였다. 연구 결과, (1) Begonia fimbristipula와 Gynura divaricata의 기저 직경과 식물체 높이는 L 0 과 L 1 처리 사이에서 뚜렷한 차이가 없었으며, L 2 처리에서 L 0 처리에 비해 뚜렷하게 낮았다. (2) 2가지 야채 최대 순광합성속도(P max ), 광포화점(LSP), 광보상점(LCP)은 빛 세기가 약화됨에 따라 점진적으로 감소하였고, 겉보기 양자효율(AQY)은 3가지 빛 환경 조건에서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PSⅡ 잠재적 최대 양자수율(F v /F m ), 광화학 형광 담금질 계수(photochemical quenching index, q P )와 전자 전달률(electron transport rate, ETR)도 빛세기가 약화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비광화학 형광 담금질 계수(NPQ)는 빛 세기가 약화됨에 따라 증가하였다. (3) 2가지 야채 광합성과 형광 파라미터는 L 0 과 L 1 처리 사이에서 뚜렷한 차이가 없었으며, L 2 처리에서 L 0 처리에 비해 뚜렷하게 낮았다. 연구 결과, 울폐도가 비교적 큰 산림 내에서 Begonia fimbristipula와 Gynura divaricata의 엽편 엽록소 분자로 여기에너지를 포획하는 효율은 감소하였으며, PSⅡ에 의한 빛 에너지 흡수는, 광화학 전자 전달에 이용되는 몫은 감소하였고 열소비 에너지에 이용되는 몫은 증가하였다. 전자 전달 활성과 전자 전달 사슬을 통하여 전달하는 에너지는 감소하였으며, 순광합성속도도 감소하였고 식물체 생장은 억제되었다. 2가지 야채는 일정한 내음성을 갖고 있으며, 임분 울폐도가 약 50%인 산림에서 정상적으로 생장할 수 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0802273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Begonia fimbristipula,Gynura divaricata,photosynthesis,fluorescence,light conditions,Begonia fimbristipula,Gynura divaricata,광합성 작용,엽록소 형광,빛 환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