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Effect of Photosynthetic Pigments, Diurnal Changes of Fluorescence and Ultrastructure in Fast Growing Period of Flue-cured Tobacco to Molybdenum Deficiency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西北植物學報 = Acta botanica boreali-occidentalia sinica
ISSN 1000-4025,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WU, Li,LUO, Qing-xi,TANG, Xing-gui,LI, Zhang-hai,HUANG, Yi-de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모델 작물 담배(Nicotiana tabacum)를 실험 재료로 수경재배 실험을 하였으며, 몰리브덴을 함유한 0.20 mg·kg -1 의 영양액을 대조군으로(CK) 하고, 0 mg·kg -1 을 몰리브델 결핍(T) 처리하여, 몰리브덴 결핍 처리가 왕성한 생장 시기에서 담배 광합성 색소, 엽록소의 형광 일변화와 엽편 세포 초미세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으며, 몰리브덴이 왕성한 생장 시기에서 담배의 광합성 작용에 미치는 영향과 그 작용 메커니즘을 제시하였다. 결과, (1) 몰리브덴 결핍 처리에 의한 담뱃잎의 엽록소와 카로티노이드(Carotenoid) 함량은 몰리브덴을 시비한 담배에 비해 뚜렷하게 낮았다. (2) 몰리브덴이 부족한 담뱃잎의 일 순광합성률(P n )은 대조군에 비해 빨리 감소하였고, 다시 상승하는데 비교적 느렸다. 몰리브덴을 시비한 담뱃잎의 P n 은 전형적인 이봉형 일 변화를 나타냈다. (3) 몰리브덴을 시비한 담뱃잎의 최대 광화학효율(F v /F m )은 비교적 안정적이었다. 광합성 전자 전달률(ETR)과 광합성 유효 양자수율(Y)은 14:00에 비교적 낮았으며, 16:00에 다시 상승하였다. 초기 형광(F 0 )과 비광화학 담금질 계수(NPQ)는 12:00~14:00에 다소 증가하였고, 18:00에 8:00의 수준으로 회복하였다. 몰리브덴이 부족한 담뱃잎의 F v /F m 은 12:00에 뚜렷하게 감소하였고, 16:00부터 조금 상승하기 시작하였다. 10:00후, ETR과 Y는 감소하기 시작하였고, F 0 과 NPQ는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16:00 후부터 감소하기 시작하였고 18:00에 8:00의 수준으로 회복하지 못하였다. (4) 몰리브덴이 부족한 담뱃잎 세포 초미세구조의 그라나 박막층(grana lamella)과 기질 박막층은 팽창하여 변형되고 느슨해졌으며, 전분립은 적었고 게다가 발육도 좋지 않았다. 몰리브덴을 시비한 담뱃잎의 엽편 층 구조는 정연하게 배열되었고 전분립의 발육이 양호하였다. 결과적으로, 왕성한 생장 시기에서 몰리브덴이 결핍된 담뱃잎의 광합성 색소 함량은 감소하였으며, 세포 구조는 이상적으로 발육하였고, 엽록소의 형광은 강한 빛과 고온에 민감하게 반응하였으며, 순광합성률은 낮아지고, 광합성 탄소 동화 산물(Photosynthetic carbon assimilation)은 감소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1560458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flue-cured tobacco,molybdenum deficiency,fast growing period,diurnal changes of fluorescence,ultrastructure,건조 담배,몰리브덴 결핍,왕성한 생장기,광합성 일변화,초미세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