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rmal Fitness of Embryonic Growth and Development in Phrynocephalus przewalskii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四川動物 = Sichuan journal of zoology |
ISSN | 1000-7083, |
ISBN |
저자(한글) | XU, Yi,YUE, Feng,MA, Ming,TIAN, Xiao-zhu,CHEN, Qiang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4-01-01 |
초록 | 사막 도마뱀(Phrynocephalus przewalskii) 배아 발육의 온도 적응성을 연구하기 위해, 우리는 3가지 온도(26℃, 30℃, 34℃)를 설정하여 사막 도마뱀의 수정란을 부화하였다. 그리고 배아 부화 과정에 배아 대사와 심박수, 신생 유체(Larvae)의 형태학 특징 및 유체(Larvae) 정적 대사율의 온도 적응성을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알이 발육되면서 사막 도마뱀의 배아 대사율과 심박수가 끊임없이 상승하였으며, 부화 후기에 최대치에 도달하였다; 배아의 심박수는 부화 온도에 비교적 높은 민감성을 나타냈으며, 환경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심박수가 뚜렷하게 빨라졌다. 부화 온도가 사막 도마뱀 신생 유체의 일부 형태학 지표에 뚜렷한 영향을 미쳤으며, 26℃ 온도에서 부화된 사막 도마뱀의 유체 크기가 비교적 컸다. 신생 유체의 대사율이 배아 대사율에 비해 높았으며, 서로 다른 온도아래 부화된 유체 및 열 적응성에 뚜렷한 차이가 있었다. 30℃ 온도 그룹에서 부화된 신생 유체의 대사 수준이 가장 낮았다. 해당 결론으로부터 우리는 부화 온도가 같은 환경에서 유체는 에너지를 적게 소모해도 자체의 기본적인 생리 활동 수요를 보장할 수 있다는 것을 추측할 수 있다; 반대로 개체가 배아에서 유체로의 서로 다른 생활 단계에 있는 환경 온도 변화에 적응하려면 더욱 많은 에너지를 소모해야 한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39826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Phrynocephalus przewalskii,embryo development,metabolic rates,heart rates,respiration rates,thermal fitness,사막 도마뱀,배아 발육,대사율,심박수,호흡률,온도 적응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