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토양에서 몰리브도인산 암모늄을 이용한 세슘 동위원소 평가방법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청정기술 = Clean technology |
ISSN | 1598-9712,2288-0690 |
ISBN |
저자(한글) | 최영훈,서양곤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6-01-01 |
초록 | 세슘 동위원소, 134 Cs와 137 Cs는 대기 핵실험 및 원자력발전소의 배출물로부터 기인하는 인공방사성 핵종 연구에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최소검출방사능(minimum detection activity, MDA)을 낮추기 위해 137 Cs 및 화학적, 환경적 거동이 동일한 134 Cs를 이용하여 환경측정실험실 절차서에 따른 일반적인 환경방사능 분석을 수행하였다. 원자력발전소 주변 고산지대 환경토양을 채취하였고, 세슘 동위원소를 화학적으로 추출 #xB7;농축하기 위한 방법으로 세슘동위원소와 흡착특성이 높은 Ammonium Molybdophosphate (AMP) 공침법을 토양 전처리 과정에 도입하였다. 방사능 농도는 감마선 분광광도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감마 에너지 스펙트럼에서 40 K 방사능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134 Cs 및 137 Cs의 MDA가 증가하였다. 따라서 토양으로부터 자연방사성 핵종이 제거된다면 세슘의 MDA가 줄어들 것이고, 환경토양에서 137 Cs의 농도를 효과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의 표준 토양 실험에서는 40 K의 방사능 농도가 평균 84% 이상 제거되었고, 134 Cs의 MDA는 2배 줄어들었다. 137 Cs의 방사능 농도는 82% 이상 회수되었다. 한편 환경토양을 이용한 시료에서는 AMP 공침법이 직접법에 비해 40 K는 최대 180배 제거되었고, 또한 134 Cs의 MDA는 5배 감소하였다. 137 Cs의 회수율은 54.54%에서 70.26%를 나타내었다. MDA와 회수율을 고려할 때 AMP 공침법은 매우 낮은 농도의 세슘분석에 효과적이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201620836658176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환경토양,세슘 동위원소,최소검출방사능,몰리브도인산 암모늄,감마선 분광분석,Environmental soil,Caesium radioisotope,Minimum detection activity,Ammonium molybdophosphate,Gamma-ray spectrometr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