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Effects of Salinity on Na+ gt;-K+ gt;-ATPase Activity in Gills, and Concentrations of Ions and Hormones in Serum of Juvenile Turbot (Scophthalmus maximus)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動物學雜誌 = Chinese journal of zoology
ISSN 0250-3263,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ZENG, Lin,LEI, Ji-lin,LIU, Bin,HONG, Wan-shu,AI, Chun-xiang,GAO, Chun-ren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사양 실험 방법을 이용하여 평균 체중이 (7.16±0.07)g인 대문짝넙치(Scophthalmus maximus) 치어를 각각 염도가 12, 18, 24, 30 및 36인 조건에서 60일 사양한 후, 아가미 Na + - K + - ATPase 활성, 혈청이온 농도, 성장호르몬(GH), 코르티솔(COR), 특정 성장율(SGR) 및 사료 효율(FCE)의 변화를 연구하였다. 그 결과, 치어의 아가미 Na + - K + - ATPase 활성과 혈청 Na + 농도는 모두 염도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고, 그 범위는 각각 3.48~8.30U/mg과 169.99~180.00mmol/L이었다. 그중, 염도가 12인 그룹이 가장 낮았고, 염도가 36인 그룹이 가장 높았다. 치어 혈청 중의 K + 와 Cl - 농도는 각각 2.20~3.47mmol/L와 136.67~142.00mmol/L이었고, 각 염도 그룹 사이에는 현저한 차이가 없었다. 치어 혈청 중의 GH와 COR 농도는 각각 0.41~1.66ng/ml와 35.33~76.41ng/ml이었다. 그중, GH는 염도가 36인 그룹이 가장 높았고, 염도가 12인 그룹이 가장 낮았으며, COR는 염도가 12인 그룹이 가장 높았고, 염도가 36인 그룹이 가장 낮았다. 치어의 SGR과 FCE는 각각 (1.45~2.00)%/d와 1.12%~1.38%이었고, 염도와 현저한 상관성이 없었으며, 모두 염도가 12인 그룹에서 가장 낮았다. 따라서, 염도의 변화는 대문짝넙치 치어의 아가미 Na + - K + - ATPase 활성, 혈청 Na + 농도와 호르몬 함량에 현저한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대문짝넙치의 양식 생리생태 조건을 분석하기 위한 중요한 참고적 가치를 제공하였고, 연구 결과는 대문짝넙치의 양식 염도 선택을 위한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0299200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Scophthalmus maximus,Salinity,Na lt,sup gt,+ lt,/sup gt,lt,sub gt,- lt,/sub gt,K lt,sup gt,+ lt,/sup gt,lt,sub gt,- lt,/sub gt,ATPase,Serum ions,Growth hormone,Cortisol,대문짝넙치,염도,Na lt,sup gt,+ lt,/sup gt,lt,sub gt,- lt,/sub gt,K lt,sup gt,+ lt,/sup gt,lt,sub gt,- lt,/sub gt,ATPase,혈청 이온,성장 호르몬,코르티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