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LIU, Yao,MAI, Kang-sen,ZHANG, Wen-bing,XU, Wei,ZHANG, Yan-jiao |
초록 |
초기 체중이 (0.22±0.01)g인 흰다리새우(Litopenaeus vannamei)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실험실 내 유동형 양식 시스템에서 8주간의 섭식 생장 실험을 진행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복합 식물성 단백질(mixed plant protein, MPP) 공급원으로[캐놀라박(canola meal):쌀 단백질 가루(Rice protein powder):옥수수 글루텐 박(corn gluten meal)-5:3:2] 흰다리새우의 실용적 사료인 어분(전체 사료의 22% 차지)을 대체하는 것이 흰다리새우의 생장과 사료 이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실험에서는 6그룹의 같은 단백질(37.96±0.39)%, 같은 지방(7.39±0.57)%의 실험 사료를 설계하였는데 각각 0%, 20%, 40%, 60%, 80%, 100% 어분 대체 그룹이다(DO, D20, D40, D60, D80, D100으로 표시). 연구 결과, 다양한 그룹 내 흰다리새우의 생존율은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P gt;0.05). D0 그룹과 비교해 본 결과, 어분 단백질 대체 수준이 20%에서 80%로 높아졌을 때 흰다리새우의 특수 생장율에 뚜렷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대체 수준이 100%로 높아졌을 때 특수 생장율은 뚜렷하게 낮아졌다(P 또한 다양한 단백질 대체 그룹에서 D100 그룹의 사료 계수가 D0 그룹 보다 높았다. 다양한 대체 단백질 그룹의 단백질 효율은 모두 D0 그룹과 명확한 차이가 없었다(P gt;0.05). 흰다리새우의 체조성(Body composition)은 다양한 처리 과정에서 뚜렷한 변화 규칙을 나타내지 않았다. 이로부터 알 수 있듯이 본 실험 조건에서 해당 복합 식물성 단백질 공급원을 이용하여 최대로 80%의 사료 어분 단백질을 대체할 수 있으며 동시에 흰다리새우의 생장, 생존과 사료 효율에 뚜렷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