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n-Hodgkin's Lymphoma 환자에서 Doxorubicin( lt;TEX gt;$Admycin^{ circledR}$ lt;/TEX gt;) 정맥주입에 따른 약동학적 특성에 대한 연구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臨床藥理學會誌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Clinical Pharmacology and Therapeutics |
ISSN | 1225-5467, |
ISBN |
저자(한글) | 이정애,장인진,방영주,이경훈,임동석,조광재,허대석,김노경,신상구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1994-01-01 |
초록 | 연구배경 : Doxorubicin을 이용한 항암요법에 필요한 doxorubicin과 그 주요 대사물인 doxorubicinol의 약동학적 특성을 파악하고 국내개발 제형의 약동학 특성과 이들 특성의 기존 제형에 대한 동등성을 비교하고자 시험 제형인 Admycin과 기준 제형인 Adriamycin의 정맥주사에 따른 약동학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Non-Hodgkin's lymphoma 환자 10명을 대상으로 Admycin과 Adriamycin $40mg/m^2$ 용량을 1개월 이상의 간격을 두고 무작위 교차 투여하고 72시간까지 혈액을 취하였다. 혈장 doxorubicin과 doxorubicinol의 농도는 HPLC 방법을 이용해 측정하였다. 혈장내 doxorubicin과 doxorubicinol의 농도로부터 농도곡선하면적, 청소율, 분포용적 등의 약동학적 특성을 2 compartment model을 이용한 nonlinear fitting과 non-compartment model을 이용해 파악하였다. 두 제형의 약동학적 parameter들은 분산분석과 symmetrical confidence interval을 이용해 비교하였다. 결과 및 결론 : Doxerubicin은 biphasic한 농도변화를 보였으며 분포용적, 청소율 및 소실기 반감기는 각각 $23.0{ pm}5.1L/kg$ , $0.57{ pm}0.17L/kg$ 및 $39.4{ pm}8.0$ 시간 이었다. 72시간까지의 농도곡선하면적은 $1.67{ pm}0.41mg/L{ cdot}hr$ 이였고 doxorubicinol의 농도곡선하 면적은 $1.17{ pm}0.25$ 로 doxorubicin의 평균 70%였으나 반감기는 평균 $70.6{ pm}27.4$ 사간으로 더 긴 양상을 보였다. 이들 약동학적 parameter들은 Admycin과 Adriamycin 두 제형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따라서 이들 두 제형은 서로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199403036988235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Doxorubicin,Doxorubicinol,Pharmacokinetics,Bioequivalenc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