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Electrochemically active biofilms: formation, characterization and application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應用與環境生物學報 = Chinese journal of applied and environmental biology
ISSN 1006-687x,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TANG, Jia-huan,LIU, Yi,ZHOU, Shun-gui,YUAN, Yo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전기화학적 활성 생물막(Electrochemically active biofilms, EABs)은 세포외 고체상태 벡터(산화철, 부식질 및 전극 등)와 직접 전자 교환을 진행할 수 있는 생물막이다. EABs의 전자 전달 특성은 환경, 에너지와 화학공업 등 분야에서 그것의 광범위한 응용 전망을 부여하여 현재 국제 연구 이슈로 되었다. 본 논문은 그람염색법을 근거로 하여, 각각 Shewanella putrefaciens, Geobacter sulfurreducens와 Clostridium butyricum EG3을 대표로 하는 음성과 양성 전기화학적 활성 미생물을 소개하였다. 일반 생물막의 형성 기초에서 EABs의 2가지 주요 배양 방법을 토론하였다. 또한 EABs 출력 전자와 수신 전자의 각도로부터 전기화학적 활성 미생물과 세포외 벡터의 전자 전달 메커니즘을 상세하게 논술하였다. 전기화학, 스펙트럼학, 전자현미경, 분자생태학 등 여러 기술 수단을 이용하여 단일 전기화학적 활성 미생물과 전반 EABs의 형태, 구조 및 제시한 세포외 전자 전달 메커니즘과 관련 영향 인자를 묘사하였다. 전기 에너지 출력, 오염물질 관리, 시장성 생산품 합성 등 분야에서 EABs의 응용에 대해 상세하게 소개하였다. 마지막으로, EABs의 연구에 대해 통일되고 표준적인 묘사 방법을 구축함과 동시에 EABs 수신 전자의 전달 메커니즘을 중점적으로 연구할 것을 건의한다. 이러한 메커니즘에 대한 깊은 이해는 오염물질 관리 및 유기물의 전기합성 등 분야에서 EABs의 응용이 규모화, 산업화 생산을 빨리 실현하도록 추진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2306177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electrochemically active biofilms,electromicrobiology,extracellular electron transfer,bioelectrochemical systems,microbial electrosynthesis,전기화학적 활성 생물막,전기화학적 활성 미생물,세포외 전자 전달,생물전기화학 시스템,미생물 전기합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