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DIVIDING SYSTEM TRACTS WITH VARIOUS GEOLOGICAL DATA ON DIFFERENT SCALES――TAKING THE SECOND MEMBER OF DONGYING FORMATION IN THE SOUTHEAST OF SHALEITIAN UPLIFT OF BOHAI AREA AS AN EXAMPLE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海洋地質前沿 = Marine geology frontiers
ISSN 1009-2722,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XU, Chun-qiang,GUO, Tao,ZHENG, Jing-gui,WANG, Jun,WAN, Liang-wei,LAI, Wei-che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다양한 퇴적계 다발(system tract)의 사암(sandstone) 분포와 축적에는 뚜렷한 차이가 존재하며, 퇴적계 다발을 정확히 구분하는 것은 석유 및 가스의 탐사, 특히 은폐된 석유 및 가스 저장층(subtle reservoir)의 탐사에 대해 중요한 의미가 있다. 해양상 지층에 비해서 대륙상은 그 층서 자체의 복잡성으로 인하여 뚜렷한 경사 붕괴지대(slope break)를 발달시키지 않았다. 퇴적계 다발을 구분할 때, 많은 학자들은 다양한 구분 방안을 제기하였는데, 유정(oil well) 윗부분과 지진파와 무관하게 각 퇴적계 다발의 계면 위치를 파악하기 어려웠다. 이러한 문제점에 초점을 맞추고, 중국 보하이(Bohai Sea) 해역의 사러톈 융기(Shaleitian uplift) 동남부에 위치한 둥잉층(Dongying Formation)의 두번째 구간에 대한 구분을 결합하여, 여러 가지 다중 척도 데이터를 이용한 계층적 제어로 저수위 퇴적계 다발(lowstand system tract), 해침 퇴적계 다발(transgressive system tract), 고수위 퇴적계 다발(highstand system tract)을 구분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척도가 비교적 큰 데이터로부터 척도가 비교적 작은 데이터까지의 계층적 제어로 퇴적계 다발을 구분하는 방법은 유정 윗부분으로부터 직접 구분하여 나타날 수 있는 부정확한 결론을 방지할 수 있었으며, 동시에 상대 호수면 변화 곡선법의 도입은 보하이 둥잉층 층서 구분의 표준화 구축을 향하여 한 걸음 나아가게 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1050307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continental sequence,system tract,relative lake-level change curve,subtle traps,Bohai offshore,대륙상 층서,퇴적계 다발,상대 호수면 변화 곡선,은폐된 석유 및 가스 저장층,보하이 해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