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SEQUENCE STRATIGRAPHIC CHARACTERISTICS AND DEPOSITIONAL SYSTEMS IN THE SOUTHEAST OF THE EASTERN DEPRESSION OF THE NORTH YELLOW SEA BASIN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海洋地質前沿 = Marine geology frontiers
ISSN 1009-2722,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DU, Min,HU, Xiao-qiang,WANG, Gai-yun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순차 층서학(sequence stratigraphy)을 이론적 지침으로 하고, 지진, 시추(well drilling), 검층(well log) 및 고생물 데이터에 관한 연구를 통하여, 북황해 분지(North Yellow Sea Basin) 동부에 위치한 함몰지(Depression)의 동남부 층서 프레임워크를 구축하였다. 연구지역의 중생대층(Mesozoic erathem)을 1개의 1급 층서, 2개의 2급 층서, 5개의 3급 층서로 나눌 수 있었으며 해당 층서 프레임워크에서 퇴적상(sedimentary facies)을 획분하고 퇴적 체계를 연구하였다. 이를 통하여 선상지 삼각주(fan delta), 뜨개질형 하천 삼각주(braided river delta), 저탁암 선상지(turbidite fan)와 호수 퇴적 등 4가지 퇴적 체계를 제시하였다. 단층(faulting) 초기에 JSQ1의 서부와 동부에는 각각 중형 선상지 삼각주와 뜨개질형 하천 삼각주 퇴적 체계가 발달하였다. 서부의 선상지 삼각주 퇴적 체계는 점차 확장하였으며 그 앞쪽 부분에는 소형 저탁암 선상지가 발달하였다. 동부의 뜨개질형 하천 삼각주 퇴적 체계는 지속적으로 확장하였으며 JSQ4 퇴적시기에 그 규모는 최대에 달하였다. 단층 말기에 KSQ1에는 분지 가장자리(basin margin)의 소형 선상지와 해빈 천호상(shore-shallow lake facies) 퇴적만 발달하였으며 동부, 남부의 융기 지역에는 퇴적이 형성되지 않거나 퇴적이 비교적 얇아 모두 침식되었다. 퇴적 체계의 평면 분포와 수직방향 변화는 고대 지질구조와 고대 지형의 제어를 받았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1050293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sedimentary system,Eastern Depression,North Yellow Sea Basin,퇴적 체계,동부 함몰지,북황해 분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