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RATIGRAPHIC SUBDIVISION AND CORRELATION OF BOREHOLE LAI D13 IN THE SONGLIAO BASIN, NE CHINA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微體古生物學報 = Acta micropalaeontologica Sinica |
ISSN | 1000-0674, |
ISBN |
저자(한글) | XUE, Yun-fei,WAN, Chuan-biao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5-01-01 |
초록 | 암석의 조합 특성과 동위원소 데이터로부터 쑹랴오분지(Songliao Basin) 라이(Lai) D13 시추공의 137.0~142.0m 구간은 초기 백악기 말기(Aptian-Albian기) 잉청층(Yingcheng Formation)에 속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04.2~137.0m 구간의 Caryapollenites simplex-Momipites coryloides-Celtispollenites sp.-Tsugaepollenites igniculus 조합 특성을 기존의 다안층(Da'an Formation) 포자화분 조합 특성과 비교하였을 때, 모두 난온대에서 북아열대에 이르는 중생대 기후를 구현하였고 후기 백악기 넌장층(Nenjiang Formation) 포자화분 조합의 특성과 확연히 달랐다. 이로부터 초기 중신세 말기부터 중기 중신세에 이르는 다안층이라고 확정할 수 있다. 54.2~104.2m 구간의 Artemisiaepollenites minor-Betulaceoipollenites sp.-Carpinipites sp.-Polypodiaceaesporites sp. 조합의 특성을 기존의 타이캉층(Taikang Formation) 포자화분 조합의 특성과 비교하였을 때, 모두 난온대에서 북아열대에 이르는 중생대 건조 기후를 구현하였다. 이는 앞서 연구자들이 암석 조합 특성을 근거로 타이캉층을 확정한 것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포자화분 조합의 시대를 분석한 결과, 본 구간의 퇴적 시간은 후기 중신세에서 플라이오세 초기에 이르는 시대였다. 연구 결과는 쑹랴오분지 신제3기 포자화분 층서학의 내용을 풍부히 하였고, 쑹랴오분지 서부 비탈 지역 시추공의 신제3기 포자화분 층서학 비교에 새로운 자료를 제공하였다. 또한 인근 지역 신제3기 생물 층서학 비교 및 고식피/고기후 분석에 새로운 근거를 제공하였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6832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Palynological assemblages,Taikang Formation,Da'an Formation,Neogene,western Songliao Basin,포자화분 조합,타이캉층,다안층,신제3기,쑹랴오분지 서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