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STRATIGRAPHIC SEQUENCE AND DEPOSITIONAL ENVIRONMENT SINCE MARINE ISOTOPE STAGE 6 IN THE CONTINENTAL SHELF OF THE WESTERN SOUTH YELLOW SEA:A CASE OF SYS-0804 CORE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海洋地質與第四紀地質 = Marine geology quaternary geology
ISSN 0256-1492,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ZHANG, Jun-qiang,LIU, Jian,KONG, Xiang-huai,XU, Gang,CHOU, Jian-dong,YUE, Bao-jing,WANG, Fei-fei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5-01-01
초록 본 논문에서는 남황해 서부 대륙붕 지역 SYS-0804(코어 깊이가 65.10m이고 수심이 38m) 시추코어 및 고해상도의 천부지층 단면도 자료를 이용하여 천부지층 단면도의 해석, 코어 퇴적물의 암질 특성과 유공충 군집의 종합적인 분석 및 AMS 14 C 연대 측정 등을 전개하였으며, 또한 중국 내외 최신 연구 성과를 결합하여 비교적 연구를 전개함으로써 남황해 서부 대륙붕 퇴적 지역의 산소 동위원소 단계 6(MARINE ISOTOPE STAGE 6, MIS 6) 기간에 발생한 층서, 퇴적 환경 진화 및 해수면 변화와의 상관성을 한층 더 깊이 논의하였다. 연구 결과, SYS-0804 코어는 DU 1 및 DU 4~DU 8 등 총 6개 퇴적 단위로 나눌 수 있었으며 또한 MIS 6, MIS 5, MIS 4, MIS 3 및 MIS 1 초기의 퇴적층과 대응관계를 보였는데 DU 2 및 DU 3(MIS 2 기간 및 MIS 3과 MIS 1 말기의 퇴적)이 없었다. MIS 6 기간(128~189cal.kaBP)의 연구 지역은 하천 퇴적(범람원) 환경이었다. MIS 5 초기(115~128cal.kaBP)의 연구 지역은 연안 천해 퇴적 환경으로서 해양 냉수괴 퇴적을 발달시켰다. MIS 5 중기-후기 및 MIS 4(60~115cal.kaBP)의 연구 지역은 초기의 해안 퇴적으로부터 연안 천해 퇴적 및 하천 퇴적으로 전이하는 퇴적 환경이었다. MIS 3 초기-중기(40~60cal.kaBP)에 있어, 초기는 해안-천해 퇴적이었다가 중기에는 갯골 충적 퇴적으로 발달하였다. MIS 2 후기-MIS 1 중기(11.5~13.0부터 0.7cal.kaBP까지)에는 연구 지역이 11.5~13.0cal.kaBP의 빙하후기 해침 경계면에 있었으며 후에 해수면의 추가적인 상승과 더불어, 해안-천해 환경을 위해 빙하후기 해침 퇴적 층서를 발달시켰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3110992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South Yellow Sea,depositional environment,provenance,퇴적 환경,근원지,남황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