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Fish species and quantity in the South China Sea surveyed by deep longline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熱帶海洋學報 = Journal of tropical oceanography
ISSN 1009-5470,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FENG, Bo,LI, Zhong-lu,HOU, Ga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5-01-01
초록 본 논문에서는 2010년~2013년 사이 남중국해에서 8회에 거쳐 저연승 어법(Deep longline)으로 얻은 조사 결과에 근거하고, 어획량과 단위노력당 어획량(catch per unit effort, CPUE)을 어류 자원의 수량 분포 지표로 하여 어획 종류, 수량 분포, 계절적 변화에 대하여 정량적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남중국해 심해 지역에서 저연승 어법으로 포획한 어종은 총 33종이며 그중 눈다랑어(Bigeye tuna), 빨간개복치(Lampris guttatus), 돛란도어(Longnose lancetfish), 청새리상어(Prionace glauca), 흰꼬리타락치 (Taractichthys steindachneri), 황새치(Xiphias gladius) 등 6가지 어류가 전체 어획량의 75.56%를 차지한다. 어류의 종 구성은 계절적 변화가 크지 않으며 겨울철에는 날개다랑어(Albacore tuna), 황새치, 흑갈치꼬치(Lepidocybium flavobrunneum)이 어획량이 상대적으로 많아진다. 사계절 모두 난사(Nansha) 중서부 해역에서의 어획량이 비교적 많았다. 봄철과 여름철, 난사 중서부 해역의 CPUE는 비교적 높은 편이며 가을철에는 시사(Xisha) 서부해역의 CPUE가 높고 겨울철에는 하이난섬(Hainan Island) 동남부 해역의 CPUE가 높은 편이다. 연승 어법으로 포획한 어종을 어획 수심에 따라 천수어와 심수어 두가지 큰 군집으로 나눌 수 있으며 그중 87.33%의 어획물이 80~280m의 수심에서 포획되었다. 기존의 남중국해에서의 생산과 조사 결과와 비교했을 때, 다랑어의 어획율이 상대적으로 낮았으며 상업 생산 요구에 도달하지 못하였다. 그 원인은 1) 포획할 때 중심 어장을 잘 장악하지 못하고 2) 가장 적합한 어구와 어법을 사용하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남중국해 심해 어업 자원에 대한 조사와 포획 기술에 대한 연구를 강화할 것을 건의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39546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tuna,longline,species composition,quantitative distribution,South China Sea,다랑어,저연승 어법,어획 조성,수량 분포,남중국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