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Cloning and expression vector construction of cucumber LDC and transformation to tabacco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廣西植物 = Guihaia
ISSN 1000-3142,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JIAN, Xing,MIAO, Yong-mei,SUI, Yi-hu,BIAN, Zhuo-wu,CHEN, Cun-kuan,HUANG, Chun-jing,LI, Zhen-xi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5-01-01
초록 리신탈카르복실화효소(Lysine decarboxylase, LDC)는 라이신(lysine)의 탈카르복실화반응을 촉매하여 카다베린(cadaverine)을 형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RT-PCR 기술을 이용하여 추위에 강한 오이(cucumber) 'Chipper'에서 cDNA 서열을 분리하였으며, DNAMAN6.0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아미노산 서열 분석을 진행하였다. 또한, BLASTp로 단백질의 보존적 서열을 비교하였으며 이중효소 절단법(double digestion)과 T4DNA 연결 효소로 식물의 과발현 벡터 pCAMBIA1304-LDC를 구축하였다. 담배 부정아 유도와 생장 배양기에 서로 다른 농도의 히그로마이신(hygromycin)를 첨가하여 부정아 분화와 생장의 선별 압력 농도를 확인하였으며 균액 농도, 침입 감염 시간과 예비, 공동배양 시간 4가지 아그로박테리아(Agrobacterium)의 침입 감염 조건을 최적화하였다. 연구 결과, 해당 서열의 CDS 전체 길이는 648 bp이며 216개의 아미노산을 인코딩하였다. BLASTp 연구 결과, 해당 단백질은 라신탈카르복실화효소의 보존적 서열을 갖고 있었고, 분리해낸 서열이 오이 LDC 유전자라고 인식하였으며 GenBank에서의 등록번호는 KC202438였다. 잎사귀 조각 부정아 유도 배양기에 10 mg·L -1 의 Hyg를 첨가하였을 때, 싹 유도율이 뚜렷이 낮아졌으며 5.41%였다. 싹 생장 배양기 내 Hyg 농도가 20 mg·L -1 일 때 새로운 싹의 활착률이 33.33%였으며 대조 그룹보다 뚜렷이 낮았다. 그러므로 10 mg·L -1 와 20 mg·L -1 의 Hyg 농도는 저항성 싹을 유도하고 생장하는 선별 농도이다. 아그로박테리아로 침입 감염 되었을 때, 담배 엽편은 예비 배양기가 필요하지 않았으며 아그로박테리아의 OD600값이 0.6이고 침임 감염 시간이 5분이며 공배양 4일 하였을 때 침입 감염 효과가 가장 우수하였고 비교적 높은 정항성 싹 분화율을 얻을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얻은 저항성 식물을 이식 활착한 후, 잎사귀 DNA를 PCR 감정하여 29그루의 전환 식물을 얻었으며 전환율은 93.55%였다. 형질전환 식물은 다음 단계 유전자 기능 분석에 재료를 제공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6236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cucumber,lysine decarboxylase,tabacco,genetic transformation,오이,리신탈카르복실화효소,담배,유전 전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