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THE OSTRACOD FAUNA AND ITS GEOLOGICAL SIGNIFICANCE FROM THE LATE EOCENE KANGTUO FORMATION, GAIZE BASIN, SOUTHERN TIBET PLATEAU, CHINA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微體古生物學報 = Acta micropalaeontologica Sinica
ISSN 1000-0674,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JIANG, Gao-lei,YUAN, Ai-hua,ZHANG, Ke-xin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시짱(Tibet) 가이쩌분지(Gaize Basin) 신생대 육지상 캉퉈층(Kangtuo Formation) 층서의 발달 과정은 칭짱고원(Tibet Plateau) 중심 지역의 시신세 기후 변화 및 융기 역사를 기록하였다. 본 논문은 가이쩌분지 중남부 가이쩌현 가러(Ga're)촌 캉퉈층 단면에 대한 체계적인 샘플링과 실내 처리를 통해 363개 오스트라코다류 개체를 획득하였고, 모두 11개 속 27개 종(1개 미확정 종 포함)을 식별하였다. 연구지역 오스트라코다류 동물군의 특성 성분인 Heterocypris igneus를 둥푸(Dongpu), 보하이(Bohai), 중국 북부(North China), 한장(Hanjiang) 등 지역의 오스트라코다류 동물군과 비교 연구하였고, 이를 통해 캉퉈층 상부의 퇴적시대는 후기 시신세인 것으로 판단하였다. 본 논문은 가이쩌분지 캉퉈층 오스트라코다류 동물군의 형태를 처음으로 보고하였다. 또한 오스트라코다류 조합에 근거하여 캉퉈층의 퇴적시대를 확정지었고, 칭짱고원 중심 지역의 신생대 층서를 연구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6826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Ostracoda,Kangtuo Formation,Late Eocene,Gaize Basin,Tibet Plateau,오스트라코다류,캉퉈층,후기 시신세,가이쩌분지,시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