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중국 남황해 분지(South Yellow Sea Basin)는 초기 진단계(sinian system) 크라톤(craton)으로부터 형성된 중생대-고생대(Mesozoic-Paleozoic) 해양과 중생대-신생대(Mesozoic-Cenozoic) 육지가 다중 겹침으로 형성된 분지(multi-cycle superimposed basin)이다. 지진 해석 자료와 부근 지역의 시추공(drilling well) 및 지역 지질학적 자료를 결합하여 중국 남황해 분지 중부 융기(the Central Uplift of the South Yellow Sea Basin) 지역의 중생대-고생대 지층 및 그 형성 과정에 대하여 연구한 결과, 남황해 분지의 중부 융기에는 비교적 전면적인 중생대-고생대 해양 지층, 제4기(Quaternary)-신제3기(Neogene) 형성층, 중기-말기 삼첩기(Triassic) 칭룽층(Qinglong Formation), 초기 페름계(Upper Permian) 층서, 말기 페름계(Lower Permian)-초기 데본계(Upper Devonian) 층서, 중기-말기 실루리아계(Middle-Lower Silurian) 층서, 오르도비스기(Ordovician)-시니아계(Sinian) 층서 및 초기 시니아계(Pre-Sinian) 변성암층(metamorphic series) 등 7가지 지진 지질 층서를 포함하고 있었으며, 주요하게 초기 시니아기(sinian period)의 지하층 형성 단계, 시니아기-초기 고생대(Early Paleozoic)의 크레이톤(craton) 형성 단계, 말기 고생대-중기 삼량기(Middle Triassic)의 지하층 안정-대륙 열개 형성 단계(continental rifting stage), 말기 삼량기(Late Triassic)-고제3기(Paleogene)의 형성, 융기(uplifting), 부식(erosion) 단계 및 신제3기-제4기의 함몰(depression) 단계 등 5개 단계를 경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