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SPOROPOLLEN ASSEMBLAGE FROM THE PERMIAN JINGOU FORMATION AT THE KONGQUEPING SECTION IN THE NORTHEAST MARGIN OF THE JUNGGAR BASIN, XINJIANG, NW CHINA AND ITS STRATIGRAPHICAL SIGNIFICANCE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微體古生物學報 = Acta micropalaeontologica Sinica
ISSN 1000-0674,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LUO, Zheng-jiang,WANG, Rui,ZHAN, Jia-zhen,YIN, Xin-hua,CHEN, Yi-fei,XIAO, Ji-nan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중가르 분지(Junggar Basin)의 동북 가장자리 쿵췌핑(Kongqueping) 단면 진거우층(Jingou Formation)의 포자화분 조합에서 Protohaploxypinus와 Striatoabieites 등 줄무늬가 있는 2기낭성(bisaccate) 화분이 매우 발달하였고, 그 유형은 풍부하였는데 7개 속 32개 종에 도달하였다. Cordaitina와 Zonalasporites 등 단기낭성(monosaccate) 화분의 다양성은 높았지만 함량은 적었다. 그리고 단구형(monocolpate) 화분, 줄무늬가 있는 화분, 줄무늬가 없는 2기낭성 화분, 양치식물 포자 등이 적은 량으로 발견되었다. 발견한 포자화분 유형 가운데 약 1/2에 도달하는 이미 알려진 종은 신장(Xinjiang) 북부의 페름기 층서에서만 볼 수 있었다. 그리고 1/3의 이미 알려진 종은 후기 석탄기에서 페름기까지의 층서에서 모두 볼 수 있었다. 포자화분 조합의 특성은 분지 남부 가장자리 하부 페름기통(Permian Serie) 타스쿠라층(Tashikula Formation)의 상부 조합과 비슷하였고, 지질 시대는 초기 페름기의 쿵구기(Kungurian)에 해당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6819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Sporopollen assemblage,Jingou Formation,Early Permian,Kongqueping section,northeast margin of the Junggar Basin,Xinjiang,포자화분 조합,진거우층,초기 페름기,쿵췌핑 단면,중가르 분지의 동북 가장자리,신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