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Cloning and Expression of Two BnPLDα Genes in Brassica napus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西北植物學報 = Acta botanica boreali-occidentalia sinica
ISSN 1000-4025,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LI, Qing,ZHAO, Yun,SU, Hai-feng,YANG, Hua,YANG, Peng-na,WANG, Mao-lin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해당 실험은 상동 클로닝 기술을 사용하여 유채를 복제하여 포스포리파아제(phospholipase) D를 코딩하는 중복 PLDα 유전자를 2개 얻었으며, BnPLDα1과 BnPLDα2 (GenBank 등록번호: KF113586, KF113587)이라고 명명하였는데, 해당 뉴클레오타이드(Nucleotide) 간 일치성은 87.33%이었다. BnPLDα1과 BnPLDα2을 코딩하는 단백질 서열을 비교 분석한 결과, 해당 단백질 간의 일치성이 91.01%에 도달하였으며, 대부분 잔기(residues)의 차이가 아미노산 서열 내에 흩어져 있었다. 그러나 PLDα 단백질의 활성 촉매 위치에 있는 첫번째 HKD 모티프(Motif)와 인접한 한 개 구간의 서열 내에서 아미노산의 잔기수 차이가 7개에 도달하였다. 이 밖에 2개 단백질의 3차원 구조에 대한 예측 결과에서도 비교적 큰 차이성이 나타났다. BnPLDα1과 BnPLDα2 유전자의 발현을 분석한 결과, 해당 두개 유전자는 생장이 왕성한 조직부위에서 발현량이 가장 높았다; 저온 스트레스 조건에서 BnPLDα1 발현량이 상향 조절되었으나 BnPLDα2 발현은 영향을 받지 않았다; 가뭄과 염(salt) 스트레스 조건에서 두개 유전자가 최대로 상향 조절되는 시간적 위치는 서로 달랐으며, 염 스트레스 신호 전달에서 BnPLDα1이 주된 작용을 발휘하였다. 그러나 가뭄 스트레스 신호 전달 가운데서는 BnPLDα2이 주된 작용을 발휘하였다; 고온 스트레스 조건에서 두개 유전자의 발현은 모두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연구 결과, BnPLDα1과 BnPLDα2는 유채의 스트레스 방어 시스템에서 중요한 작용을 발휘하지만 발현 모드의 차이 때문에 두개 유전자는 기존의 유전자와 서로 다른 다양성 기능을 나타낼 수 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0622013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Phospholipase Dα,Brassica napus,gene duplication,coning,expression analysis,PLDα,유채,중복 유전자,유전자 복제,발현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