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WU, Lin,ZHU, Gang,CHEN, Ming-jie,WANG, Hong,BAO, Da-peng |
초록 |
풀버섯(Volvariella volvacea) 유전체 내 11개 라카아제(laccase) 상동유전자가 코딩한 단백질의 성질, 전사 조절 요소를 분석하고 구리이온(copper ion)이 존재하는 조건에서 풀버섯 라카아제 활성 및 11개 라카아제 유전자의 전사 수준을 측정하여, 풀버섯 라카아제 유전자 각자의 특성, 차이 및 유전자 기능 및 진화 메커니즘을 게시하였다. 분석 결과, 이 11개 라카아제 상동유전자가 코딩한 단백질은 508?562aa개 아미노산을 갖고 있으며, 분자량과 이론등전점은 각각 56.25?60.75kDa와 4.51?6.18(번역을 거치지 않은 후 수식)이었다. 또한 모두 진균 라카아제 동이온 결합 구역의 특징적 서열, 촉매 기질(catalytic substrate)을 결합할 수 있는 4개의 환형 구조 및 신호 펩타이드 서열을 갖고 있으며, 모두 분비성의 세포외 단백질에 속하였다. 그러나 그 기질 결합 위치점 수효, loop 서열의 일치성, 막관통 구역 수효와 위치 및 신호 펩타이드 위치 등은 비교적 큰 차이가 있었다. 풀버섯의 11개 라카아제 개시코돈(initiation codon) 상류 2,000bp의 서열은 진핵생물의 기본적 전사 조절 요소(TATA-box, CAAT-box 및 GC-box)와 몇가지 잠재적인 조절 요소(MRE, XRE, STRE, HSE, ARE, TRE, NIT 요소 등)를 함유하였으나 각 유전자가 포함한 조절 구성요소 수효 및 종류는 모두 각각 달랐다. 액체 배양 조건에서, 동이온은 vv-lac2, vv-lac3과 vv-lac7을 제외한 외 나머지 8개 풀버섯 라카아제 유전자의 발현을 유도할 수 있었으며, 적합한 농도의 구리이온은 풀버섯 라카아제 활성을 증가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