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LUO, Long-zao,LI, Yu,ZHANG, Wen-an,XIAO, Hou-jun,JIANG, Tai-ming |
초록 |
중국 구이저우(Guizhou) 황토양 장기 위치 추정 모니터링 지역에서 대비군(Ck, 시비하지 않음), 유기질 비료만 사용한 지역(M, 30,555 kg·hm -2 ), 유기질 비료와 화학비료 혼합 사용한 지역(NPKM, 연간 시비량 N 165 kg·hm -2 , P 2 O 5 82.5 kg·hm -2 , K 2 O 82.5 kg·hm -2 , 유기질 비료 30,555kg·hm -2 ) 및 질소, 인, 칼륨 화학비료 혼합 사용 지역(NPK, 연간 시비량 N 165 kg·hm -2 , P 2 O 5 82.5 kg·hm -2 , K 2 O 82.5 kg·hm -2 ) 등 4가지 처리 지역을 선택하여 16년간의 시험 데이터를 분석하고 황토지역에서 서로 다른 시비를 했을 때 작물의 산량 및 화학비료 효과의 변화 추세를 연구하였다. 이는 장기 시비 패턴을 평가 및 구축하고 식량의 지속적인 생산을 촉진하는데 근거를 제공한다. 연구 결과, 장기시비 조건에서 옥수수 산량의 연경(Interannual) 변화가 가장 크고 전체적으로 상승하는 추세를 보인다. 그 중 NPKM 처리의 증산 효과가 가장 좋고 4,075.71kg·hm -2 증산할 수 있으며 증산율은 139.3%이다. 장기시비는 옥수수의 화학비료 이용율을 높일 수 있으며 그 중 M처리는 옥수수의 질소 비료와 인산 비료 이용율을 높이는데 명확히 작용하고 이용율은 각각 35.4%와 18.8%이다. NPK 처리는 옥수수 칼륨 비료의 이용율을 높이는데 명확히 작용하며 20% 높이고 M 처리 하였을때의 8.7%와 NPKM 처리 하였을때의 9.2% 보다 훨씬 높다. 이로부터 알 수 있듯이 장기적으로 고르게 시비하면 특히 유기질 비료와 호학비료를 혼합하여 사용하면 작물의 산량을 높이고 화학비료이 효과를 높이는데 적극적인 작용이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