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food production in Gansu: A review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應用生態學報 = Chinese journal of applied ecology
ISSN 1001-9332,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YANG, Feng-ke,HE, Bao-lin,GAO, Shi-mi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5-01-01
초록 중국 간쑤성 기후는 1986년부터 전반적 온난 건조화 및 국부적 온난 습윤화 유형으로 전환되는 급격한 변화를 보이고 있다. 1960년에 비하여, 전환된 후 2010년의 평균 기온은 1.1℃ 증가한 반면 평균 강수량은 28mm 감소하였으며 건조 및 반건조 지역은 남으로 약 50km 내려갔다. 기후 온난화는 간쑤성 주요 작물의 생육기에 따르는 유효 적산 온도을 증가시킨 외, 생장기의 연장, 숙성도, 배치 및 재배 체계의 변화, 재배적합지역 및 재배 해발고도의 증가, 다모작 체계의 북쪽 이동, 여름철 식량 파종 면적의 감소, 가을철 식량 파종 면적의 증가 등을 초래하였다. 겨울 추위에 약한 중만숙 품종으로 점차 겨울 추위에 강한 중조숙 품종을 대체하여 빛과 온도의 이용률 및 수확량을 증가시키는데 유리하였다. 온난 습윤 기후는 오아시스 관개지역 작물의 기후 생산력 지수를 증가시킨 반면 온난 건조 기후는 하늘바라기농업 지역 작물의 기후 생산력 지수를 감소시켰으며 수분 및 비옥도 조건은 결정적 요인이었다. 제한된 강수 이용률 및 이용 효율을 높이고 토양의 질 및 비옥도를 개선하기 위하여 내성이 강하고 겨울 추위에 약하며 수분 이용 효율을 높은 중만숙 새로운 작물 품종을 선발 육종해야 하는 외, 적합한 온도 및 수분의 재배 구조 및 재배 체계를 구축하는 것은 간쑤성에서 기후의 변화에 대처하여 식량을 생산하는 주요 발전 방향이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6877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climate change,Gansu,food,direction,기후 변화,간쑤,식량,방향